본문 바로가기

미술용어 이해하기116

미술용어 - 바이오모픽 아트 biomorphic art 바이오모픽 아트 biomorphic art 생물 형태적 미술의 뜻으로 특정 시대의 특정 경향이라기보다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모티브를 구하고자 하는 추상미술을 통칭하는 말이다. 따라서 완전한 추상이 아닌 반(半)추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특히 1940년대에 유기적인 생물 형태를 추구한 작가들이 많았는데 미로, 장 아르프, 아실 고르키, 윌리엄 바조티스 등이 대표적이다. 구성주의와 같은 추상운동이 기하학적 기반에서 포름을 찾은 데 반해 이들은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인간이나 생명을 가진 유기체에서 기본적 포름을 구하였다. 유기적 형태는 거슬러 올라가 19세기 말의 아르 누보를 효시로 20세기 초 기능주의 건축의 말기에도 추구된 바 있다. 호안 미로는 이 경향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그는 초현실주의의 영향.. 2024. 4. 21.
미술용어 - 레디 메이드 ready-made 레디 메이드 ready-made 원래는 '기성품'을 의미하나 미술에서는 마르셀 뒤샹이 처음으로 창조한 미적 개념으로 오브제의 한 장르이다. 앙드레 브르통은 레디 메이드를 '예술가의 선택을 통해 명실상부한 예술품으로 승격된 기성품' 이라고 정의했다. 1917년 뉴욕 전에 출품했다가 거부당한 뒤샹의 소변기 작품 을 레디 메이드의 전형으로 들 수 있다. 뒤샹은 변기 외에도 술병걸이, 자전거 바퀴, 삽, 타자기 덮개 등을 그대로 작품화시켰는데, 일상용품을 낯선 장소에 배치시켜 원래의 유용성을 박탈함으로써 최초의 목적을 벗어나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레디 메이드도 창작미술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사실, 즉 '발견이 곧 미(美)'가 된다는 혁신적 예술이념을.. 2024. 4. 20.
미술용어 - 기계미술 Machine Art 기계미술 Machine Art 미적 목적으로 생산되지 않은 기계물에서 나타나는 기능성, 역동성, 효용성, 현대성, 과학성, 합목적성 등의 독특한 장점을 독자적 미로 인정하여 조형미로 응용하는 미술이다. 이 용어는 1934년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알프레드 바와 필립 존슨의 기획 아래 열린 전시회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디자인 전시회를 계기로 기계제품에 대한 대중의 미적 취향 및 선호도가 향상되었다. 19세기 말경부터 철학자 에머슨, 건축가 설리반 등에 의해 미술계에 도입된 기계미는 산업 및 공업의 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진 20세기 초에 이르러 특히 미래주의에서 크게 응용되었다. 이들은 1903년 라이트 형제의 최초의 비행 성공에 이어 철골조 에펠탑 건설,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의 건설 등 눈부신 .. 2024. 4. 20.
미술용어 - 무브망 mouvement 무브망 mouvement 1. 미술작품에 표현되는 대상의 움직임, 즉 동세를 말한다. 전통적 회화나 조소에서는 보통 움직이는 어느 한 순간만을 포착하여 표현하므로 앞뒤 상황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가 미래주의에서 있었다.(중략) 옵 아트에서는 눈의 착각을 유도하거나 착시효과를 수반하는 독특한 기법을 이용해 실제의 움직임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동감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모빌, 키네틱 아트 등에서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 힘을 사용해 진짜 움직임을 도입함으로써 가상적, 심리적 무브망이 아닌 실제적인 무브망을 느끼게 한다. 실제적인 무브망은 복합적 형태의 미술인 퍼포먼스의 기본 요소이기도 하다. 무브망이란 용어는 전시회 제목으로도 쓰인 바 있는데 1955년 파리의 드니즈 르네 화랑에.. 2024. 4. 19.
미술용어 - 폴리크롬 스컬프처 polychrome sculpture 폴리크롬 스컬프처 polychrome sculpture 단색을 뜻하는 모노크롬의 반대되는 의미로 르네상스 시대부터 내려온 재료의 자연색을 살린 조소의 전통을 깨고 20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다색조소(多色彫塑)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색깔이 있는 재료를 이용하거나 여러 색채를 입힌 조소가 이에 해당된다. 다색조소는 현실과 보다 가까워지려는 욕구에서, 또 변화를 갈구해 표현의 영역을 넓히고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려는 의도에서 시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기원은 실은 구·신석기 시대의 동굴벽화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노랑 및 갈색조의 색이 칠해진, 기자에서 출토된 고대 이집트 시대 파라오들의 인물조소상이나 기원전 1370년경 텔 엘 아마르나에서 발견된 석회석에 채색해 만든 네페르티티 여왕상 등.. 2024. 4. 9.
미술용어 - 모노크롬 monochrome 모노크롬 monochrome 원래는 단색화(법), 단색사진 및 영화 등의 총칭이나 미술적으로는 한 가지 색이나 같은 계통의 색조를 사용하여 그린 그림을 말한다. 따라서 단색화로 번역되며 다색화인 폴리크롬(polychrome)과 대비되는 개념. 현대회화, 특히 1950, 60년대의 회화에서 모노크롬적 경향이 많이 나타났는데 색채가 주는 모든 감정적 영향을 배제한 하드 에지 페인팅, 형태와 색채의 극단적인 절제를 표명한 미니멀 아트 등이 대표적 예이다. 그러나 그 선구자격으로는 무채색의 기하학적 화면을 통해 승화된 감성의 극치를 보여준 절대주의의 말레비치, 공간주의를 주창한 루치오 폰타나, 비물질화 개념을 통해 물질의 기화를 시도한 이브 클랭, 똑같은 단색조 화면을 통해 무념무상의 경지를 개척한 애드 라인하.. 2024. 4. 8.
미술용어 - 무관계미술 Non-Relational art 무관계미술 Non-Relational art 말 그대로 내용이나 주제를 감지하게 해주는 화면상의 구성적 관계성, 이를테면 특정 이미지의 연상, 형상과 배경과의 관계, 구성요소간의 긴장감, 일루전, 히에라르키 등이 완전히 배제된 작품 형태를 말한다. 단독성, 독립성 등을 근간으로 하는 전통적 회화 개념은 '의도적 붓질을 벗어난 회화', 이를테면 잭슨 폴록의 드리핑 기법이 등장하면서 의미가 퇴색되었다. 그에 따라 20세기 전반 몬드리안식의 기하학적 추상, 즉 형태오 색채의 균형 및 조화에 의한 내적 관계성의 구축 역시 자연의 재현이나 표현에서 단지 존재의 극명한 드러냄으로 바뀜에 따라 무의미해졌다. 입체주의 이후 현대회화에서 평면성, 올 오버 페인팅적 성격, 동어반복적 표현, 모노크롬적 성격 등이 강화됨에 .. 2024. 3. 15.
미술용어 - 모뉴먼트 monument 모뉴먼트 monument 역사적인 사건 및 개인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건조물 및 조형물을 말한다. 기념비, 기념상, 개선문, 기념 건축물 및 조형물 등이 이에 속한다. 모뉴먼트는 대개 기념비적 목적에 맞게 위엄, 고귀하고 영구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제작되는 것이 특색이다. 옛부터 많이 제작된 모뉴먼트로는 오벨리스크, 개선문, 판테온, 전쟁추모물, 묘 등이 있으며 기념조소나 공공기념물도 포함된다. 기념물 중에는 관의 주도 아래 제작되는 것도 있는데 전쟁추모물이 대표적 관주도 기념물이다. 현대의 유명한 모뉴먼트로는 미국의 워싱턴에 세워진 베트남 전쟁기념물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원래 마야 린의 추상조소였으나 1980년대에 와서 공공예술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있고 난 후 대중의 접근이 쉬운 프.. 2024. 3. 15.
미술용어 - 바이오모픽 아트 biomorphic art 바이오모픽 아트 biomorphic art 생물 형태적 미술의 뜻으로 특정 시대의 특정 경향이락보다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모티브를 구하고자 하는 추상미술을 통칭하는 말이다. 따라서 완전한 추상이 아닌 반(半)추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특히 1940년대에 유기적인 생물 형태를 추구한 작가들이 많았는데 미로, 장 아르프, 아실 고르키, 윌리엄 바조티스 등이 대표적이다. 구성주의와 같은 추상운동이 가하학적 기반에서 포름을 찾은 데 반해 이들은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인간이나 생명을 가진 유기체에서 기본적 포름을 구하였다. 유기적 형태는 거슬러 올라가 19세기 말의 아르 누보를 효시로 20세기 초 기능주의 건축의 말기에도 추구된 바 있다. 호안 미로는 이 경향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그는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2024. 3. 12.
미술용어 - 비물질화 non-materialization 비물질화 non-materialization 물질적, 물리적 현상에서 탈피한 영적 기화를 의미하는 말로 1960년대의 누보 레알리즘 작가 이브 클랭에 의해 제창된 미술 개념이다. 신비주의자인 클랭은 당시 1950년대에 성행했던 추상표현주의의 물질성 강조에 회의를 품어 그것으로부터의 탈피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생각은 이미 1940년대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순수한 감성의 조형적 구현에 초점을 맞춘 절대주의의 말레비치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는 처음에는 동양적인 선적(禪的) 경험을 가능케 하는 모노크롬을 가장 진실한 표현 형태로 보고 그것의 가장 높은 경지를 자신이 도달해야 될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테면 가장 순화된 '파랑'을 위한 파랑물감에 대한 탐구를 지소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그 경지에.. 2024. 3. 11.
미술용어 - 스테레오그램 stereogram 스테레오그램 stereogram 스테레오그래프와 같은 뜻으로 '입체영상', '입체화법', '입체사진' 등을 일컫는 말이다. 간단히 말해 3차원의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만든 2차원의 그림, 도표, 사진, 그래픽스로 지각심리학의 발달로 가능케 된 과학과 예술의 합동작이다. 마치 숨은 그림찾기 같은 특성을 지니는데 각종 이미지를 집합시킨 평면 위에 우리 눈이 정확한 초점을 찾을 때 착시 현상을 수반하면서 생각지도 못한 생생한 입체적 영상이 드러나게 된다. (중략) 스테레오그램의 가장 일반적이고 볼 만한 거리로 정착된 형태는 RDS(임의의 두 점에 눈의 초점을 맞추어 입체적 지각을 유도하는 방법)로 1960년 미국의 벨 연구소에 근무하던 벨라 줄레츠 박사에 의해 처음 발명된 이래 다양한 형태가 계속 개발되었는.. 2024. 3. 11.
미술용어 - 세라믹 스컬프처 ceramic sculpture 세라믹 스컬프처 ceramic sculpture 세라믹스란 원래 찰흙을 주원료로한 점토질의 물질로, 사용된 재료와 소성온도에 따라 자기(porcelain), 석기(stoneware), 도기(earthenware), 토기(coarse terra cotta) 등으로 나뉜다. 세라믹은 옛부터 공예재료로 주로 도자기제조에 많이 사용되어왔다. 따라서 순수미술에서는 테라코타로 응용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도예의 소재로 인식이 깊이 박혀 왔기 때문에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특히 일용품인 그릇 만드는 재료라는 인식이 깊었기 때문에 순쉬술과 응용미술의 경계가 뚜렷했던 1950년대 전후에는 화단에서 배척당하였다. 예술의 비공리적, 심미적 측면을 중요시한 모더니스트들에게 있어서 실용적 기능은 부차적이고 저급한 개념으로 .. 2024. 3. 10.
미술용어 - 타시즘 tachisme 타시즘 tachisme '얼룩', '오점'을 뜻하는 프랑스어 타슈(ta-che)에서 유래된 말로 195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소위 '뜨거운 추상'을 추종한 유럽 작가들의 화풍을 일컫는다. 미국에서는 추상표현주의, 액션 페인팅 등으로 일반화되었고 프랑스에서는 앵포르멜로 통용되었다. 타시즘이란 말은 앵포르멜이 완숙기에 접어든 1954년 비평가 샤를 에스티엔이 추상표현주의 계열 화가들의 작품전에 사용한 후 일반화되었는데 미셸 타피에가 명명한 아르오트르와 함께 앵포르멜의 또 다른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말이 최초로 사용된 것은 19세기 말의 일이다. 당시 무정부주의 운동으로도 유명했던 비평가 펠릭스 페네옹이 아카데미즘에서 벗어나 독특한 시각적 효과를 구사한 인상주의 화가들을 가리켜 타시스트라.. 2024. 3. 10.
미술용어 - 프리미티브 아트 primitive art 프리미티브 아트 primitive art 프리미티브란 '원시의', '태고의', '옛날의' 등의 뜻으로 서양의 문면권에서 벗어난 지역, 즉 아프리카, 일부 아시아, 북극 및 남극, 태평양 섬 등의 주민들의 미술을 말한다. 오랜 역사를 지닌 이들의 원시적 미술은 구미지역에서 초보적이고 열등하고 미개한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나 제3세계 미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 1980년대 이후 유럽권과는 다른 사회체제에서 이루어진 독특한 문화라는 인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특히 이들 미술의 가장 큰 특징인 익명성의 부각, 개인적 주체성이나 독창성의 결여 등이 단순하고 미분화된 사고의 소산이 아니라 공동체 의식의 철저한 반영으로 밝혀졌다. (중략)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서구인들에게는 단순한 장식물로밖에 보이지 않는 아프리카 원주.. 2024. 3. 9.
미술용어 - 프레시저니즘 Precisionism 프레시저니즘 Precisionism 정확주의, 정밀주의, 엄격주의 등으로 번역되며 다다, 초현실주의가 태동한 시기와 비슷한 1915~20년에 미국에서 전개된 소규모 회화운동이다. 1930년대까지 계속된 이 흐름은 하나의 통합된 미술운동으로 발전하지는 못했으나 1913년에 열린 아모리 쇼 이래 미국의 유일한 독창적 미술경향이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이 경향의 작가들은 그룹전, 선언문 발표 등을 일절 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정밀주의는 입체주의의 추상적 큐빅 스타일을 사실적으로 번안한 듯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단순화된 형태, 명료한 윤곽, 단조롭고 넓은 색면, 유연한 마무리, 표현의 정밀성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점에서 큐비스트 리얼리즘, 순결주의라고도 하며, 프랑스의 순수주의와 유사한 면.. 2024. 3. 8.
미술용어 - 글라스노스트 Glasnost 글라스노스트 Glasnost 원래는 1980년대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표현과 정보에 대한 개방정책을 뜻하나 미술적으로는 비이념적, 비국가적 사상에 기초한 자유로운 '개방미술'에 대체되는 의미를 지닌다. 페레스트로이카 역시 옛 소련의 개방정책으로 양자가 비슷하게 쓰인다. 1953년 스탈린의 죽음으로 사회주의 이념으로 충만했던 옛 소련은 해체의 기미를 보이기 시작했다. 이후 후르시초프에서 고르바초프로 정권이 이어지는 동안 개방의 물결이 고조됨에 따라 러시아의 문화, 예술계에도 이념적 억압이 자취를 감추고 개방의 기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옛 소련의 개방정책에 따른 미술의 흐름은 '글라스노스트'라는 이름 아래 새로운 기류로 편승하게 되었다. 그 결과 1970년대에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거센 반발이 두드러졌는.. 2024. 3. 7.
미술용어 - 프리미티비즘 Primitivism 프리미티비즘 Primitivism 프리미티브 아트의 강한 생명력, 야만성, 비합리성 등에서 예술적 영감을 받은 작가들이나 미술조류의 흐름에 관계없이 자신의 주관에 입각해 소박한 성향의 작품을 제작하는 나이브 아트 작가들에게 적용된다. 이들은 대개 두 종류로 분류되는데, 자연풍경을 서투르지만 세밀하게 정성껏 그린 앙리 루소처럼 선천적으로 소박성을 지닌 경우와 의도적으로 미개인이나 미숙한 어린이의 솜씨를 흉내내어 전문가의 작품에서는 느낄 수 없는 순수하면서도 신선한 감각을 창출해내는 경우이다. 이는 문명에 오염되지 않은 인간상과 예술을 갈구하는 심정이 발로된 것으로 18세기 프랑스의 사상가 장 자크 루소가 때묻지 않은 원시적 생활에 대한 찬미론을 펼치고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부르짖은 후부터 성행한 사고방식이.. 2024. 3. 4.
미술용어 - 프레스코 fresco 프레스코 fresco 벽화를 그릴 때 쓰는 화법. 이탈리아어로 ‘신선하다’라는 뜻. 덜 마른 회반죽 바탕에 물에 갠 안료로 채색한 벽화. 그림물감이 표면으로 배어들어 벽이 마르면 그림은 완전히 벽의 일부가 되어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따라서 수명도 벽의 수명만큼 지속된다. 프레스코는 석고가 마르기 전에 재빨리 그림을 그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그림의 수정도 거의 불가능해 정확하고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또 사용할 수 있는 안료의 색깔도 제한되어 있고(일부생략), 벽이 마를수록 색깔도 옅어지며, 색의 농담을 이용한 효과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과 제약이 오히려 광범한 주제의 디자인과 과감한 방식의 도입을 권장하는 격이 되어,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의 순수함과 힘, 불멸성을 크게 촉진시키.. 2024. 3. 3.
미술용어 - 프라이머리 스트럭처 primary structure 프라이머리 스트럭처 primary structure 1960년대 중반에 영국과 미국에서 성행한 기하학적 추상조소 경향으로 일부는 미니멀 아트로도 통용되었다. 회화에서는 시스테믹 페인팅이 이에 대응되는 흐름이다. '기본구조'라는 뜻의 명칭이 시사하는 그대로 구, 원통, 각기둥, 육면체 등의 간결한 기하학적 형태를 추구한 것이 이 경향의 특징이다. 이 용어는 원래 1966년 4월 뉴욕의 제이슈 미술관에서 카이내스턴 맥샤인이 기획한 대규모 전시회 명칭이었다. 이 전시회에서는 종래의 조소 개념에서 탈피하여 조소라는 어휘를 구조로 대치했으며 간결한 기본적 형태와 선명한 원색이 주조를 이루었다. 그리고 작품을 전시장 바닥에 배치함으로써 조소는 으레 대좌에 놓인다는 고정관념을 타파했다. 이런 까닭에 독자적인 예술품이.. 2024. 3. 3.
미술용어 - 실재예술 미국 1948~68전 실재예술 미국 1948~68전 1968년 7월에서 약 2개월 동안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전시회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면서 질주해 온 미국 추상미술의 총결산전이라 할 수 있다. 추상미술 전시회임에도 불구하고 '실재적'이란 명제가 붙은 이유는 구체미술의 창안자 반 도에스버그의 생각처럼 내면적 관념을 가시화한 추상을 외계의 사실적 재현보다 실체적이고 진실하게 본 데서 비롯된 것이다, 단적인 예로 이 전시회의 주역이었던 미니멀 아트는 '실재예술'로도 호칭되었다. 따라서 이 전시회에서 표명된 근본 취지는 르네상스 이래 예술의 필수적 요소로 중요시해 왔던 기술적 문제를 벗어나 리얼리티에 대한 정신적, 사상적 접근을 실현하는 데 있었다. 이 전시회는 추상표현주의, 액션 페인팅에서부터 색면.. 2024. 3. 2.
미술용어 - 아크릴릭 컬러 acrylic color 아크릴릭 컬러 acrylic color 19세기말 오토 롬에 의해 아크릴레이트(ac-rylate)의 형태로 처음 발견된 후 1936년 미국에서 투명도가 높은 플렉시글래스의 형태로 생산되어 널리 알려졌다. 건조가 더딘 유화물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물감으로 합성용액인 아크릴 수지가 주원료인 폴리머로 만들었다. 1950년경부터 미국미술계에서 대량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전세계적으로 보급되었다. 당시 명확한 윤관선, 단조로운 색채 등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에지 페인팅을 추정하는 추상작가들 사이에서 대대적으로 사용되면서 확산된 것이다. 캔버스, 나무 보드, 가죽 등 어느 면에나 부착력이 뛰어나고 물에 잘 용해되며 빨리 마르고 유화 물감에 비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성질 때문에 현대화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 2024. 2. 27.
미술용어 - 아방가르드 avant-garde 아방가르드 avant-garde 전위예술 - 아방가르드란 원래 '전위', '선두', '선구' 등의 뜻으로 1790년 ≪피레네 동부권의 전위대≫라는 정치잡지에서 처음 쓰였다. 아방가르드라는 비유가 예술영역에 처음 적용된 사례는 르네상스 시대로까지 소급된다. 그러나 이 비유가 '전위'를 지칭하는 적극적인 의미를 가지고 예술에 적용된 것은 19세기에 와서인데 예술가는 정치적 전위와 마찬가지로 사회변혁을 위한 아방가르드가 되어야 한다는 뜻에서 사용되었다. 이후 인습적인 권위, 전통에 반항하여 혁명적인 예술정신의 기치를 내걸고 행동하는 미술운동을 일컫는 말로 굳어졌다. 따라서 특정 형식이나 주의(ism)를 일컫는다기보다 급진적 예술경향 전반에 사용되는 말이다. 아방가르드라는 개념은 19세기 후반 모더니즘의 시작과.. 2024. 2. 27.
미술용어 - 신초현실주의 Neo-Surrealism 신초현실주의 Neo-Surrealism 미국 하이퍼리얼리즘의 세력이 완화된 1970년대 후반부터 대두한 미술경향. 정교한 사실적 형태감각이 부각된 점에서는 하이퍼리얼리즘의 영향으로, 서로 연관이 없는 물체들을 한 화면에 배치해 데페이즈망 기법을 연상시킨 점에서는 초현실주의의 계승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하이퍼리얼리즘의 지나친 엄격성과 비감정적, 비개성적 측면에 식상하여 등장한 것으로 추상표현주의 이래 굳어져온 '형식' 중심의 모든 경향에서 탈피한 내용 중심의 구상미술이란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내용과 형식). 사실 하이퍼리얼리즘은 표면적으로는 분명히 구상이나 감정 및 정서의 철저한 배격이란 점에서 미니멀 아트와 같은 소위 '쿨아트'와의 연관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어느 면에서 모더니즘의 형.. 2024. 2. 26.
미술용어 - 실험예술 experimental art 실험예술 experimental art 이 용어는 미술비평에서 두 가지 의미를 지닌 말로 평가되는데 판에 박힌 발상이나 나태한 추종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점에서 긍정적 의미를 지니며, 부정적으로는 실험적이라는 말 그대로 뚜렷한 결과 없이 미완성된 과도기적 경향에 불과하다는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 모더니즘 역사를 가능케 한 아방가르드 정신, 다시 말해 투철한 실험정신은 역사의 진보성을 믿고 미술도 그와 같이 점진적으로 끝없는 발달을 한다는 작가들의 굳은 신념에서 싹텄다. (일부생략) 그러나 실험성이 포화점에 이른 순간 더 이상의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기본 원동력으로 작용했던 자기비판(비판철학과 미술) 능력마저 잃고 노쇠해 버린 모더니즘은 비합리성, 복합성, 절충성, 장식성 등으로 상징화된 .. 2024. 2. 25.
미술용어 - 신즉물주의 Neue Sachlichkeit 신즉물주의 Neue Sachlichkeit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에서 일어난 미술운동. 개인의 내부로 침잠하려는 표현주의와 엘리트주의적인 추상에 반대하고, 전후 혼란상을 사회적으로 인식하고자 하며, 사물 자체에 접근하여 객관적인 실재를 철저히 파악하려는 사실주의적인 특성을 지녔다. 1925년 만하임 쿤스트할레의 관장 하르트라우프가 ‘적극적이고 만질 수 있는 실재에 대한 충성을 지속해 왔거나 되찾은 예술가들’의 전을 개최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 그는 명확하고 숨김없이 일상의 타락과 불쌍한 사람들의 모습을 묘사하고자 했던 1920년대 초 베를린 미술, 문학운동을 기술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 주로 뮌헨을 중심으로 형이상학적 경향의 전원풍으로 돌아간 카놀트와 슈림프 등도 신즉물주의자에 속하지만, 가장.. 2024. 2. 24.
미술용어 - 뮤지올로지 museology 뮤지올로지 museology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뜻하는 '뮤지엄'에 대한 모든 연구를 하는 분야. 뮤지엄은 원래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뮤즈(학예 관장 여신)를 경배하기 위한 신전인 뮤제이온에서 유래된 말로 넓은 의미에서 역사, 예술, 과학 등 고고학적 자료, 미술품, 기타 인문, 자연에 관한 학술적 자료를 수집, 보관하여 교육적 배려하에 대중에게 전람하고 그것들에 대해 조사, 연구하는 시설을 말한다. 따라서 뮤지올로지는 박물관학 또는 미술관학으로 번역할 수 있다. 20세기 이전에는 뮤지엄 활동의 기본인 전시, 컬렉션 등의 활성화 및 증대에 관한 연구로 뮤지오그래피(museography)가 있었는데 20세기에 와서 더욱 발전된 형태로 변모하였다. 뮤지엄의 소장품이 매우 많고 다양해져 그 내용에 따라 여러 .. 2024. 2. 24.
미술용어 - 신조형주의 Neo-Plasticism 신조형주의 Neo-Plasticism 1912~20년에 피에트 몬드리안이 제창한 미술이론(입체주의 이론을 더욱 심화시킨 완전한 기하하적 추상론을 의미)을 토대로 제1,2차 세계대전 사이에 네덜란드에서 성행한 미술운동을 말한다. 이 명칭은 원래 '새로운 형성'이라는 뜻의 네덜란드어 니우베 빌딩에서 유래. 신조형주의는 1917년 몬드리안의 주도 아래 전개된 데 스틸 운동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일부생략) 몬드리안은 입체주의의 형체해체론을 더욱 발전시켜 대상의 구조적 파악을 통한 극단적 추상론을 전개하여 기하학적 선과 단순한 색채의 순수한 관계를 주장하였다. 그리하여 수평과 수직만을 이용한 명철한 구도와 3원색 및 무채색만을 사용한 간결한 색채구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자연을 초월하여 보편적 조화를.. 2024. 2. 21.
미술용어 - 신개념주의 Neo-Conceptualism 신개념주의 Neo-Conceptualism 1980년대 중반 이후 신표현주의, 트란사반구아르디아, 배드 페인팅 및 그라피티 아트에 대항하여 나타난 복고풍의 기하학적 미술, 오브제 아트, 개념예술을 연상시키는 타이포그래픽 아트 등을 통칭하는 말이다. 정확히 말해 1980년대 초 포스트모더니즘의 본격적 전개와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확산된 신표현주의 계열의 무절제한 감정의 표출, 그라피티 아트의 지나친 대중적 속물주의 등에 식상하여 나타난 흐름이다. (일부생략) 이러한 흐름은 1970년대 이후 문화·예술전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파급시킨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 프랑스 철학자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레이셔니즘, 차용 이론 등에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으로 내적 감정의 자유로운 분출보다는 분석적, 냉소적, 회의적인 성격.. 2024. 2. 21.
미술용어 - 시뮬레이션 simulation 시뮬레이션 simulation 원래 위조품 혹은 모제품(replica)을 뜻하는 단어이지만, 오늘날 일반적으로 현실의 현상을 컴퓨터 등의 기계장치에 의해 모방적으로 재현하는 실험을 말하며 흔히 ‘모의’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일부생략) 위조품을 모사하거나 뉴스 거리가 될만한 사건을 그대로 재연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시뮬레이션은 1970년대 말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킨 프랑스의 사상가인 보들리야르Jean Baudrillard가 이 용어에 독특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결되어 미술계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즉 오리지널이 없는 복제를 만드는 작업을 시뮬레이션으로, 그 복제를 시뮬라크르(simulacre)라고 지칭하게 된 것이다. 보들리야르는 더 이상 실재(reality)와 그것을 묘사한 이미지.. 2024. 2. 21.
미술용어 - 시리얼 아트 serial art 시리얼 아트 serial art 회화나 조소에서 같은 테마를 근소한 변화를 주면서 연속적, 반복적으로 구성하는 작품경향으로 시리즈 미술의 뜻이다. 따라서 시리즈로 된 연락이라 할 수 있으며 예술의 한 장르라기보다는 형식적인 구성 특성에 관계된 용어이다. 존 코플란스는 이러한 부류에서 흔히 나타나는 '시리얼 이미저리(serial imagery)'와 연속성에 대해 "시리얼 이미저리란 한 작가에 의해 제작된 연작에서 공통으로 드러나는 반복 형태나 구성의 이미지를 말한다. 연속성은 작품의 구성과 구문론적 형식의 특별한, 또 아주 일관성 있는 상호관련성에 의해 그 성격이 규정된다. 시리즈적 구성은 시리즈를 이루는 작품들끼리의 내적 구조 및 구성을 연결 짓는 뚜렷한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규정하였다. 19세기.. 2024.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