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미술용어사전9 미술용어 - 기능주의 Functionalism 기능주의 Functionalism 기능을 건축이나 디자인의 핵심 또는 지배적 요소로 하는 사고방식. 다시 말하면 건축이나 공예에 있어서 그 용도 및 목적에 적합한 디자인을 취한다면 그 조형의 미는 스스로 갖추어진다는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기능 개념의 모태를 이루는 실용성 또는 합목적성의 개념은 19세기 초반의 고전주의 건축가 쉰켈(1781~1841) 등의 사상에서 싹트기 시작하여,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바그너, 메셀, 미국의 설리반(1856~1924) 등 진보적인 건축가들에 의해 처음으로 적극적인 조형의 요소로써 다루어졌다. 특히 근대 건축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바그너는 “예술은 필요에 따라서만 지배된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 건축의 개척자 중 한 사람인 설리반은 “형태(form).. 2024. 1. 24. 미술용어 - 신인상주의 Néo-Impressionsme 신인상주의 Néo-Impressionsme 19세기 말에 프랑스에서 쇠라(1859~1891)와 시냑(1863~1935) 등을 중심으로 행해진 점묘주의 이론이자 운동. ‘신인상주의’라는 용어는 인상주의의 기법을 과학적으로 더욱 발전시키고 동시에 인상주의의 경험적 사실주의에 반발하여 고전주의적 정신의 부활을 꾀한다는 기치 하에 쇠라가 1884년 5월의 앙데팡당전에 출품한 을 보고 비평가 페네옹이 붙인 것이다. 당시 25세였던 쇠라는 여기서 후에 이 운동의 이론적 대변자 역할을 한 시냑을 만나 ‘앙데팡당 미술가 협회’라는 새로운 그룹을 만들었고, 22세의 젊은 비평가 페네옹은 같은 해 이 운동을 돕기 위해 《르뷔 앙데팡당》을 창간했다. 1885년에는 시냑이 피사로(1830~1903)를 운동에 참가시켰으며, 크.. 2024. 1. 21. 미술용어 - 설치 installation 설치 installation 일상적으로는 전시회를 위해 작품을 걸거나 배치하는 작업 전반을 의미. 보다 엄밀한 의미로는 특정한 장소나 전시공간을 고려하여 제작된 작품과 공간이 총체적인 하나의 환경을 이룸으로써 그 자체가 작품이 되는 미술을 말한다. 따라서 설치 미술을 경험하는 관객은 그것이 만들어내는 환경에 직접 참여하게 되며, 작품 자체 및 작품과 주위공간뿐 아니라 공간과 관람자가 이루는 관계까지 작품의 본질을 구성하는 요소가 된다. 설치라는 용어는 미국 미술 저널리즘에서 조각이나 회화 등으로 그 장르를 규정하기 어려운 작품에 대한 편의적인 의미를 담아 전시된 작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진을 설명하는 데에 흔히 쓰이던 말이었으나,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전후에 좁은 의미의 ‘설치’를 가리키는 .. 2024. 1. 21. 미술용어 -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나타난 미술경향으로서 작가의 감정과 주관이 지배적인 추상표현주의에 반하여 최소한의 조형 수단을 사용, 극도의 몰개성을 지향한다. 미니멀 아트라는 명칭은 1965년 1월 영국의 철학자이자 비평가인 볼하임이 뒤샹(1887~1968), 말레비치(1878~1935), 라인하트(1913~1967), 라우센버그(1925~ ) 등의 작가를 논평한 동명의 에세이에서 따왔다. 미니멀 아트는 로즈에 의해 ‘에이비시 아트’로, 프리드에 의해서는 ‘리터럴 아트(Literalist Art)’로 명명되었으며, 이 밖에도 ‘차가운 미술(Cool Art)’ ‘환원적 미술’ ‘오브제 아트’ ‘프라이머리 스트럭처(Primary Structur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 2024. 1. 21. 미술용어 - 미디어아트 Media Art 미디어아트 Media Art 미디어는 ‘매체’를 뜻하는 미디엄의 복수형으로서 미디엄이 미술에서 작품의 재료를 의미한다면, 일반적으로 미디어는 텔레비전이나 신문 등 매스미디어를 가리킨다. 즉 미디어 아트는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인 대중매체를 미술에 도입한 것으로서, 책이나 잡지, 신문,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비디오, 컴퓨터 등 대중에의 파급 효과가 큰 의사소통 수단의 형태를 빌려 제작된다. 1920년대에 전조를 보인 미디어 아트는 제1, 2차세계대전을 통한 대중매체의 기술적 발전과 매스컴 이론의 영향에 따라 1960년대에 대두하였고 197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미디어는 곧 메시지’라는 맥루한의 지적대로 미디어 아트는 매체 자체가 지닌 독특한 속성을 내세워 대중의 의식과 감성에 .. 2024. 1. 21. 미술용어 - 점묘법 pointage 점묘법 pointage 점 또는 점과 유사한 세밀한 터치로 묘사하는 회화 기법의 용어. 동양화에서 자연을 인상적으로 해석하는 미법산수의 미점(米點), 인상주의의 경우에는 프리즘에 의해 분해된 색의 병치에서 색점 배치의 묘법 등이 대표적인 점묘의 예이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그림물감을 팔레트 위에서 섞는 것은 지양하고 순수한 빛을 표현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화면은 미세한 점으로 분할되고 색채도 순수한 색으로 분할되었다. 이 수법은 일찍이 콘스터블(1776~1837)의 풍경화에서도 부분적으로 쓰였으며, 들라크루아(1798~1863)도 의식적으로 사용한 바 있다. [아스니에르에서 물놀이하는 사람들] 조르주피에르쇠라 1884 캔버스에 유채 출처: 화가의 생애와 예술세계 그러나 점묘법을 제작의 기본 원리로 .. 2024. 1. 21. 미술용어 - 부조 relief 부조 relief 평면상에서 요철 기복을 가한 조형표현으로 조소 기법의 하나. 평면에 형상이 도드라지게 한다. 평면 위에 표현된다는 점에서는 회화에 가깝지만, 입체적인 감각으로 표현된다는 점에서는 조각의 일종이다. 릴리프라는 용어는 르네상스 시기에 첸니니(c.1360~1440)가 사용한 ‘relievo’라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한 말이다. 형상이 돌출된 정도에 따라 고부조(高浮彫), 저부조(低浮彫), 반부조(半浮彫)로 구분된다. 고부조란 돌출된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배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반부조는 돌출 부위의 두께가 다른 부위의 반 정도 되는 경우를 말한다. 저부조란 이보다 돌출 정도가 훨씬 덜한 것이다. 원칙적인 부조의 양식은 부조의 부분이 벽면을 뚫고 나온 느낌을 주는 그리스 부조와 주위의 .. 2024. 1. 20. 미술용어 - 사실주의 Realism 사실주의 Realism 현실을 존중하고 객관적으로 묘사하려는 예술 제작의 태도 또는 방법. 묘사하려는 대상을 양식화, 이상화, 추상화, 왜곡하는 방법과 대립하여 대상의 세부 특징까지 정확히 재현하고 객관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사실주의의 본래 의미는 단순히 자연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 그대로의 일상 생활을 주제로 삼는 것을 뜻한다. 이에 반해 자연주의는 단지 외형을 충실히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로는 근대 시민사회의 성립에 따라 신고전주의나 낭만주의를 대신하여 1840년대 쿠르베(1819~1877), 도미에(1808~1879) 등에 의해 일어나 1850년대에 절정에 달한 프랑스의 미술운동을 말한다. 사실주의 미술은 사실주의 문학과 더불어 19세기 중엽에.. 2024. 1. 20. 미술용어 - 모더니즘 Modernism 모더니즘 Modernism 일반적으로 ‘근대성(modernity)’과 관련된 미술 전반을 지칭하는 용어. 라틴어 ‘modernus’에서 유래하였다. 르네상스 이후에 생겨난 개념으로 사상과 예술에 두루 걸쳐 나타나는 인간의 독특한 시대 의식 또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사상적인 의미에서의 모더니즘은 르네상스 이후에 근대인이 갖게 된 삶의 보편적인 감각을 뜻한다. 그리고 시대 의식이라는 점에서 모더니즘은 시간의 흐름 특히 자신이 살고 있는 당대에 대한 독특한 태도를 가리킨다. 따라서 현재와 오늘의 모습에 충실하려는 인간의 이성적 노력을 촉구하는 태도로 볼 수도 있다. 한편 예술 사조로서의 모더니즘을 말할 때는 ‘미학적 근대주의’ 혹은 ‘근대주의’로 이해된다. 문학에서는 19세기의 데카당스, 상징주의와 아방가.. 2024. 1.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