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용어 이해하기

미술용어 - 프리미티비즘 Primitivism

by 이자벨우 2024. 3. 4.
프리미티비즘  Primitivism

 

프리미티브 아트의 강한 생명력, 야만성, 비합리성 등에서 예술적 영감을 받은 작가들이나 미술조류의 흐름에 관계없이 자신의 주관에 입각해 소박한 성향의 작품을 제작하는 나이브 아트 작가들에게 적용된다. 이들은 대개 두 종류로 분류되는데, 자연풍경을 서투르지만 세밀하게 정성껏 그린 앙리 루소처럼 선천적으로 소박성을 지닌 경우와 의도적으로 미개인이나 미숙한 어린이의 솜씨를 흉내내어 전문가의 작품에서는 느낄 수 없는 순수하면서도 신선한 감각을 창출해내는 경우이다.

 이는 문명에 오염되지 않은 인간상과 예술을 갈구하는 심정이 발로된 것으로 18세기 프랑스의 사상가 장 자크 루소가 때묻지 않은 원시적 생활에 대한 찬미론을 펼치고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부르짖은 후부터 성행한 사고방식이다.

728x90

 특히 20세기 초의 작가들 중 프리미티브 아트에 심취한 경우가 많은데 어린이의 천진한 시각으로 독특한 원시성을 구사한 클레와 미로, 잉카 문명의 미라 형상을 도입한 표현주의 작가 뭉크, 문명과 등진 타히티섬에서 영감을 얻은 고갱이나 아프리카 니그로 스컬프처에서 영향을 받은 피카소의 작품(1906~9년에 제작된 작품은들은 '흑인시대'로 호칭될 정도)이 있다. 피카소는 논리적, 이성적 사고에서 탈피해 원초적 생명감으로 충만된 흑인조소의 단수화된 형태감각에 큰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입체주의 이후 1930년, 40년대에 활동한 현대조소가들, 이를테면 브랑쿠시, 모딜리아니, 자크 리프시츠, 자코메티, 헨리 무어 등을 비롯해 장 뒤뷔페가 구사한 세련되지 못한 이미지에서 그러한 현상이 두드러졌다.

 

출처 - 현대미술사전,안연희,1999,미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