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용어 - 시그널 아트 Signal Art
시그널 아트 Signal Art 특정 양식이라기보다는 공공표지, 회사의 트레이드 마크, 광고식 기호, 교통표지, 도표, 신호, 숫자 등을 표현소재로 하여 상징적 효과를 수반하는 경향을 말한다. 주로 간결명료한 기하학적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반사실적이고 딱딱한 느낌을 주기 쉽다. 그러나 도회지의 일상생활 도처에 깔려 있는 갖가지 기호에 대한 연상을 불러일으켜 비록 반추상적이라도 현실적 정취가 강하게 풍기는 것이 특징이다. (일부생략) 시그널 아트는 1920년대 옛 러시아의 알렉산더 로드첸코, 엘 리시츠키, 레빈, 클루치스 등의 생산주의 미술에서 그 기미를 보인 이래 팝 아트의 로버트 인디애나, 니콜라스 크루세니크, 앨린 다켄젤로 등에 의해 완결된 형태로 나타났다. 인디애나의 색채구성은 미국을 상징하는 각..
2024. 2. 20.
미술용어 - 추상미술 abstract art
추상미술 abstract art 비대상미술(比對象美術), 비구상미술, 비재현적 미술이라고도 하며, 때로는 구체미술이라고도 불린다. 눈에 보이는 현실의 사물을 묘사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 미술을 가리킨다. 자연의 구체적 대상을 거의 재현하지 않고 색, 선, 형 등의 추상적 형식으로 작품을 구성하는 미술을 총칭하는 것으로, 20세기 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주류의 하나를 이룬다. 모든 미술은 형태, 색채, 질감, 화면의 크기, 테마의 크기 및 넓이 등 추상적인 제요소로 성립되고 그 양식도 주로 이것들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과거에는 이들 제 요소가 신들을 찬미한 인간의 모습이나 사상(事象) 등을 나타내려는 기술적, 묘사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되어 표현보다는 설명의 역할이 지배적이었다. 역사적으로 보면 추상미술은 ..
2024. 2. 10.
미술용어 - 쿨 아트 cool art
쿨 아트 cool art ‘차갑다’ 또는 ‘춥다’라는 형용사는 감각이나 감정에 호소하기보다는 지성에 호소하고 무관심, 엄격함, 합리성, 심원함, 비인격성, 금욕 등과 같은 성질을 보여주는 다양한 형식의 예술적 특징을 기술하기 위해 최근의 많은 비평가들이 은유적인 의미로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쿨 아트는 날카로운 윤곽이나 형식, 그리고 반복적인 구조와 단위로 이루어져 있어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이다. 추상적인 예술작품을 만들었던 스위스의 화가 거스트너는 《차가운 미술》(1957, 1963)이라는 표제로 책을 출간했다. 1964년에 라이더는 어윈, 프라이스, 구드, 러샤(1937~ ), 벨(1939~ )과 같은 일단의 로스앤젤레스 화가들을 ‘차가운 유파(The Cool School)’라고 칭하였는데, 그것은 그..
2024. 1. 27.
미술용어 - 콜라주 collage
콜라주 collage 본래 ‘풀칠’ ‘바르기’ 따위의 의미였으나, 전용되어 화면에 인쇄물, 천, 쇠붙이, 나무조각, 모래, 나뭇잎 등 여러 가지를 붙여서 구성하는 회화 기법, 또는 그러한 기법에 의해 제작되는 회화를 가리킨다. 1911년경 입체주의 시대의 피카소(1881~1973)와 브라크(1892~1963)는 화면 효과를 높이고, 구체감을 강조하기 위하여, 화면에 그림물감으로 그리는 대신 신문지, 우표, 벽지, 상표 등의 실물을 붙여 화면을 구성하는 방식의 파피에 콜레라는 기법을 창안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다다에 이르러서는 파피에 콜레가 확대되어 실꾸러미, 모발, 철사, 모래 등 캔버스와는 이질적인 재료, 또는 신문, 잡지의 사진이나 기사를 오려 붙여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부조리한 충동이나 아이..
2024.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