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미술용어42

미술용어 - 신개념주의 Neo-Conceptualism 신개념주의 Neo-Conceptualism 1980년대 중반 이후 신표현주의, 트란사반구아르디아, 배드 페인팅 및 그라피티 아트에 대항하여 나타난 복고풍의 기하학적 미술, 오브제 아트, 개념예술을 연상시키는 타이포그래픽 아트 등을 통칭하는 말이다. 정확히 말해 1980년대 초 포스트모더니즘의 본격적 전개와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확산된 신표현주의 계열의 무절제한 감정의 표출, 그라피티 아트의 지나친 대중적 속물주의 등에 식상하여 나타난 흐름이다. (일부생략) 이러한 흐름은 1970년대 이후 문화·예술전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파급시킨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 프랑스 철학자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레이셔니즘, 차용 이론 등에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으로 내적 감정의 자유로운 분출보다는 분석적, 냉소적, 회의적인 성격.. 2024. 2. 21.
미술용어 - 시리얼 아트 serial art 시리얼 아트 serial art 회화나 조소에서 같은 테마를 근소한 변화를 주면서 연속적, 반복적으로 구성하는 작품경향으로 시리즈 미술의 뜻이다. 따라서 시리즈로 된 연락이라 할 수 있으며 예술의 한 장르라기보다는 형식적인 구성 특성에 관계된 용어이다. 존 코플란스는 이러한 부류에서 흔히 나타나는 '시리얼 이미저리(serial imagery)'와 연속성에 대해 "시리얼 이미저리란 한 작가에 의해 제작된 연작에서 공통으로 드러나는 반복 형태나 구성의 이미지를 말한다. 연속성은 작품의 구성과 구문론적 형식의 특별한, 또 아주 일관성 있는 상호관련성에 의해 그 성격이 규정된다. 시리즈적 구성은 시리즈를 이루는 작품들끼리의 내적 구조 및 구성을 연결 짓는 뚜렷한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규정하였다. 19세기.. 2024. 2. 20.
미술용어 - 시그널 아트 Signal Art 시그널 아트 Signal Art 특정 양식이라기보다는 공공표지, 회사의 트레이드 마크, 광고식 기호, 교통표지, 도표, 신호, 숫자 등을 표현소재로 하여 상징적 효과를 수반하는 경향을 말한다. 주로 간결명료한 기하학적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반사실적이고 딱딱한 느낌을 주기 쉽다. 그러나 도회지의 일상생활 도처에 깔려 있는 갖가지 기호에 대한 연상을 불러일으켜 비록 반추상적이라도 현실적 정취가 강하게 풍기는 것이 특징이다. (일부생략) 시그널 아트는 1920년대 옛 러시아의 알렉산더 로드첸코, 엘 리시츠키, 레빈, 클루치스 등의 생산주의 미술에서 그 기미를 보인 이래 팝 아트의 로버트 인디애나, 니콜라스 크루세니크, 앨린 다켄젤로 등에 의해 완결된 형태로 나타났다. 인디애나의 색채구성은 미국을 상징하는 각.. 2024. 2. 20.
미술용어 -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포스트모더니즘은 지난 20세기에 걸쳐 서구의 문화와 예술, 삶과 사고를 지배해 온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으로서 1960년대 중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하나의 통일된 사조나 운동은 아니지만, 그 중심적 동기는 모더니즘을 통해 수립된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엄격한 구분, 예술 각 장르 간의 폐쇄성에 대한 반발이다. 다니엘 벨Daniel Bell, 하산Ihab Hassan, 오더허티Brian O’Doherty, 로젠버그Harold Rosenberg(1906~1978) 등 많은 사상가들이 모더니즘의 종말을 선고했다. 벨은 “오늘날 모더니즘은 쇠잔했다. 거기에는 긴장도 없고, 창조적인 충동의 기운도 빠져 버렸다. 모더니즘의 반란적 충동은 제도화되었고, 그 실험적인 형식은 광.. 2024. 2. 19.
미술용어 - 누보 레알리슴 Nouveau Réalisme 누보 레알리슴 Nouveau Réalisme 1960년대 초에 당시 유럽과 미국의 지배적인 조류였던 추상표현주의, 서정 추상, 타시슴 등 일련의 앵포르멜 미술에 대응해서 일어난 운동. 누보 레알리슴은 공업제품의 단편이나 일상적인 오브제를 거의 그대로 전시함으로써 ‘현실의 직접적인 제시’라는 새롭고 적극적인 방법을 추구했던 미술이다. ‘기계화되고 공업화되면 광고로 넘치는 우리들 현대의 자연’을 있는 그대로 ‘차용’하여 제시하는 것은 누보 레알리슴의 가장 중요한 원리이자 방법이다. 누보 레알리슴의 중심 인물은 비평가 레스타니Pierre Restany로서 그는 1960년 4월 밀라노 아폴리네르 화랑에서 제1차 선언을 발표하고 이라는 기치로 전시를 개최했다. 정식으로 ‘누보 레알리스트’로서 그룹이 결성된 것은 .. 2024. 2. 14.
미술용어 - 입체주의 Cubisme 입체주의 Cubisme 1900~1914년 파리에서 일어났던 미술 혁신 운동. 20세기에 가장 중요한 예술 운동의 하나. 유럽 회화를 르네상스 이래의 사실주의적 전통에서 해방시킨 회화 혁명으로 지칭되고 있다. 1908년 마티스Henri Matisse(1869~1954)가, 브라크Georges Braque(1892~1963)가 그린 이라는 연작을 평하면서 ‘조그만 입체(큐브)의 덩어리’라고 말한 데서 유래되었다. 피카소Pablo Picasso(1881~1973)가 을 발표함으로써 급격하게 발전한 이 운동은 일반적으로 세잔느Paul Cézanne(1839~1906)풍의 입체주의(1907~1909), 분석적 입체주의(1910~1912), 종합적 입체주의(1913~1914) 등 3단계로 나누어 고찰될 수 있다... 2024. 2. 14.
미술용어 - 종합주의 Synthetisme 종합주의 Synthetisme 19세기 말 프랑스의 회화 운동으로서 고갱(1848~1903)과 나비파 화가들인 베르나르(1868~1941), 앙크탱(1861~1932), 라발 등에 의하여 주장된 미술 이론이자 기법. 이들은 인상주의의 화풍과 이론으로부터 결별하고 자연을 직접 보고 그리기보다는 기억과 상상에 의존하여 작업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보였다. 1889년 파리에서 고갱이 개최한 전람회가 그 시발점이 되었으며, 종합주의라는 용어도 고갱이 처음 사용한 것이다. 여기에서 ‘종합’은 인상주의의 색채분할과 그 기법의 해체적, 분석적인 경향에 대한 대항으로서의 종합을 의미한다. 고갱은 자연에서 광선과 빛의 효과를 탐구하는 데 전념한 인상주의의 방식이 지극히 피상적이며, 사상이나 지적 사고를 소홀히 여긴다는 한.. 2024. 2. 13.
미술용어 - 환상예술 irrealistic art 환상예술 irrealistic art 상상적, 환상적세계를 표현하는 예술. 사실주의(리얼리즘) 예술에 대한 대립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구성적, 추상적 예술에 대비되는 경우도 있다. 경험적, 합리적인 자연관 및 그 표현기법에 대립하는 예술을 지칭하는데, 어떤 예술이건 무슨 형태이든 간에 상상적 요소가 내재하기 때문에 이 정의가 꼭 엄밀하지는 않다. 그러나 대체로 제재적(題材的)적으로는 신화적 괴물류, 종교적환상, 몽마적(夢魔的) 세계 등을 나타내는 것. 기법적으로는 비사실주의적 형태, 색채, 빛(명암법)을 사용하는 작품을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환상예술은 시대 혹은 개성에 있어서 어떤 내적억압의 발로로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옛부터 그러한 유례(類例)는 대단히 많지만 사실주의와 같은 .. 2024. 2. 13.
미술용어 - 야수주의 Fauvisme 야수주의 Fauvisme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일어난 혁신적인 회화 운동으로, 이론적인 운동이라기보다는 색채를 강렬하게 추구한 화가들의 자연발생적인 그룹으로서 서로 다른 경향의 미술가들의 일시적인 결합이었다. 여기에 동참했던 미술가들은 대체로 모로(1826~1898)의 문하생들이었던 마르케, 망갱, 마티스(1869~1954), 카무엥, 퓌이, 샤투파 출신의 작가들인 블라맹크(1876~1958)와 드랭(1880~1954) 그리고 르 아브르 출신의 프리츠, 브라크(1892~1963), 뒤피의 세 부류로 구분되며 네덜란드의 반 동겐도 참여했다. 이들은 모두 반 고흐(1853~1890)와 고갱(1848~1903), 세잔느(1839~1906)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야수주의’라는 명칭은 1905년 에 출품.. 2024. 2. 11.
미술용어 - 추상미술 abstract art 추상미술 abstract art 비대상미술(比對象美術), 비구상미술, 비재현적 미술이라고도 하며, 때로는 구체미술이라고도 불린다. 눈에 보이는 현실의 사물을 묘사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 미술을 가리킨다. 자연의 구체적 대상을 거의 재현하지 않고 색, 선, 형 등의 추상적 형식으로 작품을 구성하는 미술을 총칭하는 것으로, 20세기 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주류의 하나를 이룬다. 모든 미술은 형태, 색채, 질감, 화면의 크기, 테마의 크기 및 넓이 등 추상적인 제요소로 성립되고 그 양식도 주로 이것들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과거에는 이들 제 요소가 신들을 찬미한 인간의 모습이나 사상(事象) 등을 나타내려는 기술적, 묘사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되어 표현보다는 설명의 역할이 지배적이었다. 역사적으로 보면 추상미술은 .. 2024. 2. 10.
미술용어 - 팝 아트 Pop Art 팝 아트 Pop Art 1960년대 초기에 미국에서 발달하여 미국화단을 지배했던 구상 회화의 한 경향. ‘팝pop’이라는 명칭은 ‘popular’에서 유래하였으며, 일상생활에 범람하는 기성 이미지인 대중적 이미지에서 제재(題材)를 취했던 미술의 경향을 일컫는다. 팝 아트가 급속히 일반화된 것은 1962년 뉴욕의 시드니 제니스Sidney Janis 화랑에서 열렸던 이후의 일이나 영국에서는 이미 10여년 전부터 그 전조가 된 미술가들의 활동이 있었다. 1950년대 초부터 해밀턴(1922~ ), 파올로치(1924~ ) 등의 젊은 작가들이 모여서 대중 사회의 문화, 예술, 매스 미디어와 같은 문제들을 토론하고 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팝 아트라는 명칭을 얻게 된 것이다. 이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영국의 비평.. 2024. 2. 10.
미술용어 - 낭만주의 Romanticism 낭만주의 Romanticism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유럽의 모든 나라에서 일어난 예술상 및 철학상의 경향. 개성을 존중하고 자아의 해방을 주장하며 상상과 무한한 것을 동경하는 주관적, 감정적인 태도가 그 특징이다. 따라서 이는 정신 생활의 전역에 영향을 미친 주의 또는 경향이며 미술상으로는 고전주의라든가 바로크 등에 대해 일컬어지는 것 같은 독자적인 명확한 양식을 낳게 한 것은 아니다. 낭만주의는 고전주의의 차가운 형식 존중에 대한 반동이라는 형태로 나타나, 프랑스에서는 제리코(1791~1824)에서 시작되어 들라크루아(1798~1863)에 이르면서 자유분방한 색채, 유동적인 필치, 동감에 찬 구성을 갖춘 영웅적 작품을 남겼다. 특히 들라크루아의 동방 취향 또는 이국 취미에 의한 후기 작업.. 2024. 2. 9.
미술용어 - 유기주의 organisme 유기주의 organisme 건축이나 조각, 회화, 디자인 등에서 기능적 혹은 기하학적 경향에 대해 유기적 생명감을 중시하는 경향을 뜻한다. ‘유기적’이라는 비유적 표현은 이미 바자리(1511~1574)가 페루치(1481~1536)의 를 ‘만들어진 것이라기보다는 탄생된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평가했듯이 르네상스시대에 유행했다. 근대에 와서는 미국의 라이트(1867~1959)가 유기적 건축을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가 말하는 유기적 건축은 국제건축 양식이나 기능주의 건축에 비해 자연, 생물, 인간에게 보다 밀접하게 조화, 융합된 성격과 형태를 갖춘 건축이라는 의미이다. (일부생략) CIAM(근대건축국제회의)을 중심으로 한 분석적인 기능주의의 교리에 심하게 대립한 1930년대의 라이트 등은 《유기적인 건축.. 2024. 2. 7.
미술용어 - 왜곡 distortion 왜곡 distortion 예술에서 원형과 그 표상 간의 의도적이거나 비의도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를 가리키는 용어. 모든 예술 작품은 대상에 대한 정확한 삼차원적 복사물이 아니기 때문에 변형 혹은 왜곡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조각은 모델이 없는 경우일지라도 인체특정학의 법칙에 의거해서 왜곡된 비례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회화는 원근법에 의해 부득이하게 왜곡된다. 또한 카메라를 향하여 손을 들면 부자연스럽게 크게 보이는데, 이때 사진도 왜곡되어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외관상의 왜곡은 우리 마음이 변화를 극소화시킴으로써 지각체계에 안정성을 보전하려는 항상성(恒常性)에 의한 것이다. 멀리 떨어져 있는 대상을 볼 때, 우리는 망막에 던져진 상의 크기가 아니라 우리가 그렇다고 알고 있는 크기를 본다. 사진사와.. 2024. 2. 6.
미술용어 - 형식주의 formalism 형식주의 formalism 예술의 다른 특성들보다 예술작품의 형식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예술 이론, 또는 실제 1970년대에 특정한 예술권에서 남용한 용어. 분석적으로 볼 때 대상으로부터 특정한 속성, 성질 또는 관계를 추상화하거나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신작용은 대상의 다른 속성들을 무시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므로 비평적 분석은 필연적으로 예술작품의 총체성을 분열시킨다. 예를 들어 한 미술 비평가는 예술작품의 형식과 내용을 상호보완적이기보다는 독립적인 것처럼 논의할 수 있다. 좁은 의미의 ‘형식’은 대상을 색채나 텍스처에 관계없이 묘사하는 것을 가리킨다. 형식의 개념과 연관된 철학적 문제들은 고대 그리스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시각 예술에서 형식주의는 일반적으로 20세기의 현대 미술, .. 2024. 2. 1.
미술용어 - 대지미술 Earth Art 대지미술 Earth Art 1960년대 후반 영국과 독일, 특히 미국에서 성행했던 미술 경향. 그 용어는 대표적인 대지미술 작가인 스미슨(1938~1973)이 소설가 앨디스의 동명(同名)의 과학소설 제목에서 힌트를 얻어 전람회의 이름에 사용함으로써 일반화되었다. 대지미술은 1960년대의 두 가지 주요 관심사를 공유하고 있다. 미술의 상업화에 대한 반대와 당시에 부상한 환경운동에 대한 지지가 그것인데, 후자는 ‘땅으로 돌아가자(back-to-the-land)’라는 반도시화(反都市化)주의와 지구라는 혹성에 대한 정신적인 자세 등으로 나타났다. (일부생략) 손피스트(1946~ )는 도시의 현장을 조경하여 그 장소를 예전의 자연적 상태나 선사시대의 상태로 되돌려 놓으려고 시도했으며, 홀트는 스톤헨지를 연상시키는.. 2024. 1. 31.
미술용어 - 형이상학적 회화 Metaphysical Painting 형이상학적 회화 Metaphysical Painting 외국어 표기 Pittura Metafisica (이탈리아어) 이탈리아 근대 회화의 한 경향. 1915년부터 1918년에 이르기까지 데 키리코(1888~1978), 카라(1881~1966), 모란디(1890~1964) 등의 작품에 적용되었다. 시인이자 데 키리코의 형인 사비니오는 그것에는 “조형적 한계 내에서의 정신적 요구에 대한 총체적 표상이라는 아이러니가 있다”고 말한다. 1938년 데 키리코는 스스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예술작품이 진실로 불멸의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전적으로 인간적 한계 내에서 벗어나야 하며, 논리나 상식은 이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이는 꿈과 어린아이의 정신상태에 가깝다…선사 이래 인간이 물려받은 가장 강력한 감각은 예감으.. 2024. 1. 31.
미술용어 - 아상블라주 assemblage 아상블라주 assemblage 원뜻은 ‘모으기, 집합, 조립’. 여러 가지 물질을 이용해 평면적인 타블로 회화에 삼차원성을 부여하는 기법으로서, 넓은 의미로는 우리 주위에서 볼 수 있는 기성품이나 잡다한 물건들을 모아서 만든 작품 또는 그러한 일을 말하며, 만들어진 형태가 구상이나 추상을 불문하고 모든 소재와 내용을 포괄하므로 양식에 관련된 것이라기보다 기법이나 방법론의 명칭이다. 아상블라주라는 용어는 뒤뷔페(1901~1985)가 콜라주와 구별하기 위해 1954년에 풀 먹인 종이 및 여러 물질들로 이루어진 작은 인물상을 지칭한 데에서 시작되었으나 그 기원은 피카소(1881~1973)로 거슬러 올라간다. 브라크(1892~1963)와 공동작업을 하던 피카소는 1912년 얇은 금속판을 이용한 를 만들었으며, .. 2024. 1. 30.
미술용어 - 신표현주의 Neo-Expressionism 신표현주의 Neo-Expressionism ‘신표현주의’라는 용어가 어떠한 경위로 처음 사용되었는지에 관한 기록은 없지만, 이미 1982년에는 새로 등장한 독일 미술과 이탈리아 미술을 설명하는 용어로 널리 통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대중 매체가 지어낸 다른 많은 미술 운동의 명칭이 그러하듯이 대부분의 미술가들은 자신들의 작품이 신표현주의로 분류되는 데에 거부감을 나타냈다. 신표현주의는 미술사에 등장했던 모더니즘과 개념미술에 반발하여 나타난 미술이다. 신표현주의 미술가들은 자신들이 교육받아 온 토양인 개념미술 형식에서 등을 돌린 후 이젤에 그림을 그리고, 주형을 뜨거나, 손으로 깎아 조각을 만드는 전통적인 미술 제작 방식을 선택했다. 신표현주의는 모더니즘과 모더니즘 이전의 미술에서 영감을 찾은 반면 미니멀리.. 2024. 1. 30.
미술용어 - 순수주의 Purisme 순수주의 Purisme 입체주의 미학을 계승하면서 1918년 오장팡(1886~1965)과 르 코르뷔지에(1887~1965)가 작성한 라는 선언서에서 시작된 운동. 이 글은 1919년 창간되고 1925년에 폐간된 잡지 《에스프리 누보》에 실렸으며, 순수주의 운동은 이 잡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들은 입체주의의 미학을 더욱 순수히 하여 쓸데없는 장식성이나 과장을 일체 거부한, 간결하고 명확한 조형표현을 주장하였다. 즉 그것은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불필요한 장식을 모두 배제하는 기능주의의 관점과 상통하는 것이었다. 회화에서의 환상과 근거 없는 자유에 반대하는 순수주의는 그 모델로 기계를 취하며, 작품에 우연성과 무의식이 가해지는 것을 금하였다. 이들의 원칙을 실제로 엄격히 따른 작가.. 2024. 1. 30.
미술용어 - 알레고리 allegory 알레고리 allegory 우의(寓意), 풍유(諷諭)의 뜻. 다른 것을 말한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알레고리아(allegoria)’에서 유래된 말로 추상적, 금기적, 종교적인 개념이나 사상을 비유적이고 구체적인 형상을 통해 암시하는 표현 방식을 말한다. (일부생략) 구체적 대상을 이용하여 추상적 개념을 표현하는 것은 일종의 상징적 표현이라 하겠으나, 상징보다는 복잡하고 다양하며 시각적으로 실재하는 형태에서 출발하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 알레고리를 사용함으로써 작품의 내용은 보이는 것 이상의 심화된 의미를 띠게 되므로 신화나 성경 등 그것의 배경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바탕으로 작품을 읽어야 한다. 그 내용은 대개 도덕적인 것이며, 내용과 형상이 의도적으로 결합되어 인습적으로 고정된다. 알레고리는 모더니즘 미.. 2024. 1. 29.
미술용어 - 반예술 anti-art 반예술 anti-art 뒤샹(1887~1968)이 제기한 후 현재까지 폭넓고 다양한 뜻으로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반예술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마르쿠제(1898~1979)는 반예술 작품을 그림이 있기는 하지만 예술로서 의도되지 않은, 예를 들어 낙서 같은 것이라고 정의했다. 배트코크는 기존 도덕을 위반하는 것, 예를 들면 불법 섹스만화 따위를 반예술로 본다. 미국의 미학자 디키는 예술을 관습으로 보고, 진정한 반예술이란 그 관습 안에서 일어나는 행위로 이루어지면서도 관습의 규범을 교묘히 이용하여 어떠한 예술 장르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을 뜻한다고 했다. 반예술의 개념은 예술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모든 영역에서 기성 가치의 부정을 표명했던 취리히 다다에서부터 태동하였다. 다다는 입체주의를 부정하.. 2024. 1. 28.
미술용어 - 살롱 salon 살롱 salon 어원은 이탈리아어의 ‘sala’이며, 프랑스어로 ‘거실’을 뜻하는 말로서 17~18세기에 작가, 시인, 예술 애호가들이 모여 작품을 감상하거나 예술적인 대화를 나누던 장소를 가리킨다. 보통 근세에서 근대에 걸친 서양 상류 계급의 응접실을 말한다. 미술 용어로는 현존하는 예술가들의 작품을 모아서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공식적인 전람회를 지칭한다. 1667년 프랑스 왕립아카데미의 전람회 개최 이래 살롱은 공개적인 전람회를 의미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아카데미 회원들만이 참가할 수 있었던 이 전시회가 루브르궁의 ‘살롱 카레Salon Carr’에서 열렸기 때문에 살롱이라 불리게 되었다. 1850년 이래 살롱은 정부에 의해 주최되었지만 1881년에 창립된 ‘프랑스미술가협회Société des Art.. 2024. 1. 28.
미술용어 - 네오 다다 Neo-Dada 네오 다다 Neo-Dada 1957년 무렵부터 미국 회화에 나타났던 새로운 경향. 공식적인 용어로서 사용된 것은 1958년 1월 《아트뉴스》지에 익명으로 게재된 평론에서 존스(1930~ ), 캐프로(1927~), 라우센버그(1925~), 톰블리(1929~ ) 등의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예가 처음이다. 그 후 네오다다는 캐프로와 톰블리의 작품보다는 존스와 라우센버그의 작품과 주로 연결지어져 왔다. 《아트뉴스》에서 다다라는 이름을 연관시킨 것은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일어난 다다 운동의 두 가지 측면 때문이다. 첫째는 과녁과 숫자와 지도가 캔버스 화면 전체를 덮는 존스의 회화에 내포되어 있는 다다와 같은 역설과 애매모호함 때문이다. 둘째는 라우센버그가 폐품과 발견된 오브제를 사용하여 회화와 조각이 .. 2024. 1. 27.
미술용어 - 쿨 아트 cool art 쿨 아트 cool art ‘차갑다’ 또는 ‘춥다’라는 형용사는 감각이나 감정에 호소하기보다는 지성에 호소하고 무관심, 엄격함, 합리성, 심원함, 비인격성, 금욕 등과 같은 성질을 보여주는 다양한 형식의 예술적 특징을 기술하기 위해 최근의 많은 비평가들이 은유적인 의미로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쿨 아트는 날카로운 윤곽이나 형식, 그리고 반복적인 구조와 단위로 이루어져 있어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이다. 추상적인 예술작품을 만들었던 스위스의 화가 거스트너는 《차가운 미술》(1957, 1963)이라는 표제로 책을 출간했다. 1964년에 라이더는 어윈, 프라이스, 구드, 러샤(1937~ ), 벨(1939~ )과 같은 일단의 로스앤젤레스 화가들을 ‘차가운 유파(The Cool School)’라고 칭하였는데, 그것은 그.. 2024. 1. 27.
미술용어 - 데콜라주 décollage 데콜라주 décollage 원래 ‘붙인다’는 뜻의 콜라주와 반대의 뜻으로 떼어내고 박탈한다는 의미. 일상적인 사물을 찢어내고 지우고 불태우는 등의 파괴행위에 의해 우연한 효과를 기대하는 방법이다. 그 목표는 물질의 소비 메커니즘적인 관념을 강제적으로 타파하고 새로운 미적 현상의 가능성을 찾아내려는 데 있다. 이 용어는 플럭서스의 독일 대표격인 포스텔이 1960년대 초에 조직했던 그룹의 기관잡지 《데콜라주》에서 유래한다. 포스텔은 데콜라주가 단순히 장식상의 기법적 차원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즉 파괴적인 행위를 거듭함으로써 우연성의 창조적 흔적과 사회적인 비평성을 찾아낼 수 있으며, (일부생략)이를테면 플래카드를 찢는 다다의 표현행위를 다시 등장시킨 동시에, 질적 변화를 통해 그 찢기와 지움에 의해 생기는 .. 2024. 1. 26.
미술용어 - 콜라주 collage 콜라주 collage 본래 ‘풀칠’ ‘바르기’ 따위의 의미였으나, 전용되어 화면에 인쇄물, 천, 쇠붙이, 나무조각, 모래, 나뭇잎 등 여러 가지를 붙여서 구성하는 회화 기법, 또는 그러한 기법에 의해 제작되는 회화를 가리킨다. 1911년경 입체주의 시대의 피카소(1881~1973)와 브라크(1892~1963)는 화면 효과를 높이고, 구체감을 강조하기 위하여, 화면에 그림물감으로 그리는 대신 신문지, 우표, 벽지, 상표 등의 실물을 붙여 화면을 구성하는 방식의 파피에 콜레라는 기법을 창안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다다에 이르러서는 파피에 콜레가 확대되어 실꾸러미, 모발, 철사, 모래 등 캔버스와는 이질적인 재료, 또는 신문, 잡지의 사진이나 기사를 오려 붙여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부조리한 충동이나 아이.. 2024. 1. 26.
미술용어 - 오브제 objet 오브제 objet 일반적으로는 물건, 물체, 객체 등의 의미를 지닌 프랑스어이나, 미술에서는 주제에 대응하여 일상적 합리적인 의식을 파괴하는 물체 본연의 존재 방식을 가리킨다. 나뭇가지라든가 동물의 가죽 등 자연적인 물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주전자 등의 공산품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다다의 레디메이드 오브제는 기성품의 일상적인 위치를 변질시킨 것이고, 초현실주의의 오브제는 성적 욕망과 환상을 불러 일으키는 기능을 가진다. 제2차 세계대전 후의 폐물을 사용한 조각, 즉 정크 아트는 공업사회에서 의미를 가지는 오브제의 새로운 전개라 말할 수 있다. 오브제를 활발히 사용한 초현실주의에서는 이것을 전용(轉用), 독특한 표현 개념을 부여하여 구체적인 예술의 한 방법으로 삼았다. 즉 예술과는 아무런 관계가 .. 2024. 1. 26.
미술용어 - 다다 Dada 다다 Dada 1915~1922년경 스위스, 독일, 프랑스 등 유럽과 미국에서 일어났던 반문명, 반합리적인 예술운동. 제1차 세계대전을 초래한 전통적인 서구 문명을 부정하고 기성의 모든 사회적, 도덕적 속박에서 정신을 해방하여 개인의 진정한 근원적 욕구에 충실하고자 했다. 다다란 여러 나라의 말에서 찾을 수 있는 단어로 다양한 뜻을 지니고 있고 프랑스어로 ‘목마’를 의미하며, 슬라브어에서는 ‘예, 예’를 뜻한다. 다다란 명칭이 탄생한 경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그중 1916년 시인인 차라(1896~1960)가 사전을 놓고 펜나이프를 아무데나 집어넣어 나온 다다라는 아무 의미가 없는 음성어를 그 명칭으로 결정하였다고 한다. 다다는 제1차 세계대전 중과 그 직후에 전세계로 급속히 확대되어 갔는데, 처.. 2024. 1. 25.
미술용어 - 나이브 아트 naive art 나이브 아트 naive art 미술사에서의 어떤 유파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일부 작가의 작품 경향을 말할 때 쓰인다. 정규 미술교육을 받지 않고 화단과도 별 관계없이 이른바 문명적인 세련된 기교와도 담을 쌓은 채, 기교 이전의 순수한 즐거움과 충동적 본능으로, 자연발생적인 소박함과 치졸함, 특이한 시각, 그리고 양식화의 특징을 보이는 예술을 이른다. ‘나이브’라는 용어는 ‘자생적으로 획득된’이란 의미의 라틴어에서 파생되었다. 원시 미술(primitive art), 아웃사이더 아트, 아르 브뤼 등으로도 불려지고 있지만, 민속 미술(folk art)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나이브 아트는 특정한 지역의 역사적 산물이라기보다는 개인적 재능과 정신의 개화로부터 비롯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나이브 양식은 일반.. 2024.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