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니멀아트3

미술용어 - 프라이머리 스트럭처 primary structure 프라이머리 스트럭처 primary structure 1960년대 중반에 영국과 미국에서 성행한 기하학적 추상조소 경향으로 일부는 미니멀 아트로도 통용되었다. 회화에서는 시스테믹 페인팅이 이에 대응되는 흐름이다. '기본구조'라는 뜻의 명칭이 시사하는 그대로 구, 원통, 각기둥, 육면체 등의 간결한 기하학적 형태를 추구한 것이 이 경향의 특징이다. 이 용어는 원래 1966년 4월 뉴욕의 제이슈 미술관에서 카이내스턴 맥샤인이 기획한 대규모 전시회 명칭이었다. 이 전시회에서는 종래의 조소 개념에서 탈피하여 조소라는 어휘를 구조로 대치했으며 간결한 기본적 형태와 선명한 원색이 주조를 이루었다. 그리고 작품을 전시장 바닥에 배치함으로써 조소는 으레 대좌에 놓인다는 고정관념을 타파했다. 이런 까닭에 독자적인 예술품이.. 2024. 3. 3.
미술용어 - 실재예술 미국 1948~68전 실재예술 미국 1948~68전 1968년 7월에서 약 2개월 동안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전시회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면서 질주해 온 미국 추상미술의 총결산전이라 할 수 있다. 추상미술 전시회임에도 불구하고 '실재적'이란 명제가 붙은 이유는 구체미술의 창안자 반 도에스버그의 생각처럼 내면적 관념을 가시화한 추상을 외계의 사실적 재현보다 실체적이고 진실하게 본 데서 비롯된 것이다, 단적인 예로 이 전시회의 주역이었던 미니멀 아트는 '실재예술'로도 호칭되었다. 따라서 이 전시회에서 표명된 근본 취지는 르네상스 이래 예술의 필수적 요소로 중요시해 왔던 기술적 문제를 벗어나 리얼리티에 대한 정신적, 사상적 접근을 실현하는 데 있었다. 이 전시회는 추상표현주의, 액션 페인팅에서부터 색면.. 2024. 3. 2.
미술용어 -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나타난 미술경향으로서 작가의 감정과 주관이 지배적인 추상표현주의에 반하여 최소한의 조형 수단을 사용, 극도의 몰개성을 지향한다. 미니멀 아트라는 명칭은 1965년 1월 영국의 철학자이자 비평가인 볼하임이 뒤샹(1887~1968), 말레비치(1878~1935), 라인하트(1913~1967), 라우센버그(1925~ ) 등의 작가를 논평한 동명의 에세이에서 따왔다. 미니멀 아트는 로즈에 의해 ‘에이비시 아트’로, 프리드에 의해서는 ‘리터럴 아트(Literalist Art)’로 명명되었으며, 이 밖에도 ‘차가운 미술(Cool Art)’ ‘환원적 미술’ ‘오브제 아트’ ‘프라이머리 스트럭처(Primary Structur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 2024.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