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용어 이해하기116

미술용어 - 표현주의 Expressionismus 표현주의 Expressionismus 미술사와 미술비평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미술의 기본 목적을 자연의 재현으로 보는 것을 거부하며, 르네상스 이래 유럽 미술의 전통적 규범을 떨쳐버리려 했던 20세기 미술 운동 중의 하나. 표현주의자들은 예술의 진정한 목적이 감정과 감각의 직접적인 표현이며 회화의 선, 형태, 색채 등은 그것의 표현가능성만을 위해 이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구성(구도)의 균형과 아름다움에 대한 전통적 개념은 감정을 더욱 강력하게 전달하기 위해 무시되었으며, 왜곡은 주제나 내용을 강조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표현주의가 명확하게 자리잡기 시작한 것은 1905년경 부터이지만, 1880년대부터 그 전조가 나타났다. 표현주의는 프랑스에서 시작되었으나 다른 나라에서도 거의 동시.. 2024. 1. 24.
미술용어 - 포트폴리오 portfolio 포트폴리오 portfolio 사전적 의미로는 서류 및 자료의 보관철 또는 손가방을 의미하나 미술에서는 작품이나 시각정보를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게 정리한 특수 자료집을 말한다. 포트폴리오는 디자인계나 사업체, 대학 진학생들 사이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순수미술에서도 적극 활용딜 소지가 많다. 작품 및 작업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열람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품활동을 위한 개인적 참고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닐 뿐 아니라 전시회 출품, 화랑 교섭 등에도 요긴하게 쓸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순수미술에서의 포트폴리오는 완벽한 형식을 취하지 않아도 되는 까닭에 작성이 비교적 수월하며 각자의 개성에 따라 기본 형식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포트폴리오는 보통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스케치, 메모, 아이디어 등.. 2024. 1. 24.
미술용어 - 그라타주 grattage 그라타주 grattage '마찰', '긁어내기' 등의 뜻으로 색을 두텁게 칠한 후 각종 도구를 사용해 그 표면을 긁어내면서 자유로운 선 중심의 자국을 내는 회화기법을 말한다. 칠한 색의 두께에 따라 미묘한 조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0세기 이후 현대화가들이 이 기법을 도입했는데 타시슴의 장 포트리에가 즐겨 사용했으면 에서 그 전형을 볼 수 있다. 이 기법은 오늘날 미술교육현장에서도 많이 응용되고 있다. 여러 가지 색으로 밑칠을 한 후 그 위에 검정색을 칠하고 긁어내어 밑색이 보이게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출처 - 현대미술사전,안연희,1999,미진사 2024. 1. 24.
미술용어 - 기능주의 Functionalism 기능주의 Functionalism 기능을 건축이나 디자인의 핵심 또는 지배적 요소로 하는 사고방식. 다시 말하면 건축이나 공예에 있어서 그 용도 및 목적에 적합한 디자인을 취한다면 그 조형의 미는 스스로 갖추어진다는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기능 개념의 모태를 이루는 실용성 또는 합목적성의 개념은 19세기 초반의 고전주의 건축가 쉰켈(1781~1841) 등의 사상에서 싹트기 시작하여,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바그너, 메셀, 미국의 설리반(1856~1924) 등 진보적인 건축가들에 의해 처음으로 적극적인 조형의 요소로써 다루어졌다. 특히 근대 건축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바그너는 “예술은 필요에 따라서만 지배된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 건축의 개척자 중 한 사람인 설리반은 “형태(form).. 2024. 1. 24.
미술용어 - 마티에르 matière 마티에르 matière 1. '재료', '소재'의 뜻이다. 2. '질감(texture)'을 뜻하는 말로 작품의 재료나 표현기법에 따라 창출되는 표면효과를 말한다. 특히 회화에서 다양한 재질감이 표현되는데 물감의 겹칠, 광택, 붓의 흔적, 나이프 사용 등에 의해 나타난다. 프레스코 나템페라, 과슈 등으로는 마티에르를 내기 힘들고 오일 컬러나 아크릴릭 컬러가 효과를 내는 데 적격이다. 인상주의 화가 르누아르는 당대에 마티에르에 대해 통달한 사람은 아무도 없음을 강조하고 이를 옛 선조들이 가진 마티에르에 대한 감각이 엄청나게 다양했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풀이했는데 이러한 생각은 후대의 화가들에게 이어져 마티에르에 대한 탐구심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입체주의에서는 물감에 모래를 섞어 파피에 콜레를 창안함으로써.. 2024. 1. 23.
미술용어 - 우드컷 woodcut 우드컷 woodcut 볼록판화의 가장 대표적인 기법인 목판화를 지칭하는 말이다. 판화의 종류 중 제작법과 사용도구가 가장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목판화는 우드컷과 우드 인그레이빙으로 나뉜다. 전자(우드컷)는 나무를 세로로 절단한 판면 위에 새기는 것으로 원하는 형상 이외의 부분을 칼로 깎아내고 잉크가 튀어나온 부분에만 묻게 하여 찍는데 주로 흰 바탕에 검은 선, 면으로 나타난다. 후자(우드 인그레이빙)는 나무를 가로로 절단 한 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목의 섬세한 결을 살릴 수 있으나 단단한 면을 이용해야 하므로 우드컷에 비해 집중력고 숙련된 기술을 요하는 어려움이 있다. 보통 원하는 형상을 가는 선으로 파내어 튀어나온 배경에 잉크가 묻게 하여 찍는 기법으로 검은 배경에 흰 선으로 나타난다. 목판화의 역사.. 2024. 1. 23.
미술용어 - 옵 아트 Op Art 옵 아트 Op Art 옵아트는 ‘옵티컬 아트Optical Art’를 줄여서 부르는 용어이다. 즉, ‘시각적인 미술’의 약칭이라 할 수 있다. 이 양식은 ‘망막의 미술(retinal art)’과 ‘지각적 추상(perceptual abstraction)’이라는 다른 명칭으로도 불린다. 이 용어는 1964년에 조각가인 리키가 당시 뉴욕의 근대미술관 큐레이터였던 젤츠, 사이츠와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이름지어졌다. 옵 아트는 사실은 옵 페인팅이며 모두 추상적이다. 옵티컬이란 ‘시각적 착각’을 의미하는데 옵 아트의 작품은 실제로 화면이 움직이는 듯한 환각을 일으킨다. 예를 들면, 구불거리는 하얀 배경 위에 검은 평행선들이 놓인 브리지드 라일리(1931~ )의 생명감 있는 작품은 운동감과 깊이감을 설득력 있게 전달.. 2024. 1. 23.
미술용어 - 유미주의 Aestheticism 유미주의 Aestheticism 미(美)가 인생에 있어 가장 높은 단계의 것이라 하여 미를 위한 미, 예술을 위한 예술을 추구하는 입장. 미와 예술은 오직 자족적이며 자율적이고 자기 목적적으로서, 사회, 정치, 종교 등 어떤 기준들에 의해 판단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탐미주의’라고도 하며 원리적으로는 순수주의에 통하는데 영국, 미국에서는 순수 미학, 순수 유미주의라고도 한다. (일부생략) 부르주아적으로는 향락주의 생활 조건의 미화(美化)를 가리키며 종교적, 도피적이며 자연적 인간의 소박미에 안식과 구원을 구하는 것 등 일률적인 것이 아닌데, 인간이 노력할만한 최고 목적은 순수미학이라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인상주의, 상징주의에서 볼 수 있는 세기말적, 악마적, 관능적 유미주의나, 와일드, 페이터 등과.. 2024. 1. 23.
미술용어 - 초현실주의 Surréalisme 초현실주의 Surréalisme 제1차 세계대전이 종결된 이듬해인 1919년부터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직후까지 약 20년 동안 프랑스를 중심으로 해서 일어났던 전위적인 문학 예술운동. 다다와 미래주의 등 20세기에 등장한 다른 전위운동에 비해 양차 세계대전 동안 가장 폭넓게 확산되었으며, 논쟁적인 예술 운동이 되었다. 이성의 지배를 거부하고 비합리적인 것, 의식 아래의 세계를 표현하는 예술 혁신 운동으로 추상미술과 함께 20세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예술 사조의 하나이다. 초현실주의는 근본적으로 경험의 경계를 넘어서려고 애썼으며, 현실을 본능적이고 잠재적인 꿈의 경험과 융합시켜 논리적이며 실재하는 현실, 그 자체를 바라보는 시각을 확장시키려 했던 바 이것은 절대적 혹은 초월적인 현실에 도달하기 위한 것이.. 2024. 1. 22.
미술용어 - 데페이즈망 dépaysement 데페이즈망 dépaysement 원래는 '추방', '떠나다' 등의 뜻으로 전위법으로 번역된다. 초현실주의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로 일상적이고 상식적인 맥락을 벗어나 대상 사이에 이상하고 낯선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꿈속에서처럼 대상이 시간과 장소를 초월해 뒤죽박죽이 되어 있는 장면을 그림으로 구체화시키는 것으로 무의식적인 잠재의식의 표출욕구에서 기인된 것이다. 그 기원은 사실 고대미술에서부터 찾을 수 있으나 직접적 선구자로는 20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미술운동피투라 메타피지카를 들 수 있다. (일부생략) 초현실주의에서는 르네 마그리트, 달리 등이 데페이즈망 기법을 즐겨 사용하였다. 특히 마그리트는 일상적 사물, 이를테면 의자, 빗, 기차, 석고, 꽃, 나무 등을 문맥이 통하지 않게 배.. 2024. 1. 22.
미술용어 - 아틀리에 atelier 아틀리에 atelier 화가, 조소가, 공예가, 건축가, 사진작가 등 예술가들의 작업장의 총칭이나 과거의 집단작업장인 워크숍을 지칭할 때도 있다. 현대의 미술가들에게 있어서 아틀리에는 단순한 작품제작장이 아닌 모임, 토론의 장으로도 활용되어 실험예술의 산실이 된 경우가 많았다. 한 예로 팝 아트의 앤디 워홀은 1963년 문을 연 자신의 작업장 겸 영화제작실에 팩토리란 이름을 붙였다. 같은 팝 아트 작가 로이 리히텐슈타인은 그러한 특별한 이름에 대해 "워홀이 산업화, 공업화된 스타일을 지향한다는 증거"로 못박았다. 이곳은 당시 미국에서 가장 개방적인 자유주의자들이나 소위 문제집단, 예컨대 마약중독자, 동성연애자, 히피들의 아지트가 되었다. (일부생략) 팩토리의 구성원들은 워홀이 인간절단협회의 발레리 솔라나.. 2024. 1. 22.
미술용어 - 데포르마숑 déformation 데포르마숑 déformation 대상의 있는 그대로의 재현이 아닌 의도적왜곡을 통한 주관적 표현법으로 변형으로 번역된다. 작가의 주관적 감정이나 조형의지가 데포르마숑의 근본 요인이 되는데 근대미술에서는 형태나 비례를 고의적으로 변형시켜 독자적 조형질서를 추구하였다. 현상학적 시각에 기초해 자연계의 불변적본질을 탐구하여 20세기 추상미술의 기토를 세운 세잔 이후 급속하게 발달한 기법으로 특히 표현주의와 야수주의에서 애용되었다. 마티스, 달리, 모딜리아니 등의 작품에서 특색 있는 데포르마숑을 볼 수 있으며 고흐, 수틴, 키르히너 같은 표현주의적 화풍의 화가들도 강한 이미지의 데포르마숑을 구사하였다. (일부생략) 20세기 후반에는 신표현주의 흐름에서 데포르마숑이 다시 대두한 것을 볼 수 있다. (일부생략) 순.. 2024. 1. 22.
미술용어 - 비디오 아트 Video Art 비디오 아트 Video Art 비디오 즉 텔레비전을 매체로 하는 현대 미술의 한 경향. 비디오 아트는 1965년 당시 플럭서스 미술가였던 백남준白南準이 소니의 최신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최초의 비디오 작품을 제작하여 그로부터 몇 시간 뒤에 뉴욕의 그리니치빌리지에 있는 카페 아 고고Café à Go Go에서 상영함으로써 시작되었고, 1960년대 이후 국제적으로 확대되면서 수많은 작가들이 비디오 아티스트로서 활동하고 있다. 비디오는 양식이 아니라 매체이며, 따라서 비디오 아트는 대략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분야로 나뉘어진다. 비디오 테이프 작품과 설치비디오가 그것이다. 설치 비디오는 (일부생략) 백남준처럼 비디오 모니터와 화면을 재료로 이용한 작품이며, 일반적으로 여러 대에서 수십, 수백대의 TV .. 2024. 1. 22.
미술용어 - 구상미술과 비구상미술 figurative art & non-figurative 구상미술과 비구상미술 figurative art & non-figurative 구상미술이란 20세기 추상미술이 대두함에 따라 그 대립되는 개념으로, 외계의 재현적표현의 총칭으로 사용된 용어이다. 재현미술(representational art), 객관적 미술, 대상미술(objective art) 등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 혹은 존재한다고 상상되는 사물을 눈에 보이는 그대로 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웹스터의 에는 주로 인물화를 통칭하는 말로 되어 있다. 제1차 세계대전 종결 후 일어난 초현실주의, 1960년대 초 등장한 팝아트, 1960년대 후반 미국화단을 휩슨 하이퍼리얼리즘, 1960년대 프랑스의 신구상, 1980년대의 신표현주의 등이 20세기의 대표적 구상미술로 꼽힌.. 2024. 1. 21.
미술용어 - 신인상주의 Néo-Impressionsme 신인상주의 Néo-Impressionsme 19세기 말에 프랑스에서 쇠라(1859~1891)와 시냑(1863~1935) 등을 중심으로 행해진 점묘주의 이론이자 운동. ‘신인상주의’라는 용어는 인상주의의 기법을 과학적으로 더욱 발전시키고 동시에 인상주의의 경험적 사실주의에 반발하여 고전주의적 정신의 부활을 꾀한다는 기치 하에 쇠라가 1884년 5월의 앙데팡당전에 출품한 을 보고 비평가 페네옹이 붙인 것이다. 당시 25세였던 쇠라는 여기서 후에 이 운동의 이론적 대변자 역할을 한 시냑을 만나 ‘앙데팡당 미술가 협회’라는 새로운 그룹을 만들었고, 22세의 젊은 비평가 페네옹은 같은 해 이 운동을 돕기 위해 《르뷔 앙데팡당》을 창간했다. 1885년에는 시냑이 피사로(1830~1903)를 운동에 참가시켰으며, 크.. 2024. 1. 21.
미술용어 - 설치 installation 설치 installation 일상적으로는 전시회를 위해 작품을 걸거나 배치하는 작업 전반을 의미. 보다 엄밀한 의미로는 특정한 장소나 전시공간을 고려하여 제작된 작품과 공간이 총체적인 하나의 환경을 이룸으로써 그 자체가 작품이 되는 미술을 말한다. 따라서 설치 미술을 경험하는 관객은 그것이 만들어내는 환경에 직접 참여하게 되며, 작품 자체 및 작품과 주위공간뿐 아니라 공간과 관람자가 이루는 관계까지 작품의 본질을 구성하는 요소가 된다. 설치라는 용어는 미국 미술 저널리즘에서 조각이나 회화 등으로 그 장르를 규정하기 어려운 작품에 대한 편의적인 의미를 담아 전시된 작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진을 설명하는 데에 흔히 쓰이던 말이었으나,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전후에 좁은 의미의 ‘설치’를 가리키는 .. 2024. 1. 21.
미술용어 - 비엔날레 biennale 비엔날레 biennale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미술전람회로 국제적행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한 국가 내에서 자치적으로 열리기도 한다. 비엔날레는 크게 회화, 조소, 건축 등 모든미술 장르를 섭렵하는 경우와 장르별로 제한시킨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예로는 1895년에 창설된 베니스 비엔날레, 1932년에 창설된 미국의 휘트니 비엔날레, 1951년에 창설된 브라질의 상파울루 비엔날레, 1959년에 창설된 파리 청년 비엔날레, 1973년에 창설된 칠레의 발파라이소 비엔날레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시드니 비엔날레, 1981년에 창설된 타이의 방글라데시 비엔날레 등이 있다. (중략) 비엔날레는 트리엔날레, 콰드리엔날레 등과 더불어 미술계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고 현대미술의 발전에 큰 기여를 .. 2024. 1. 21.
미술용어 -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나타난 미술경향으로서 작가의 감정과 주관이 지배적인 추상표현주의에 반하여 최소한의 조형 수단을 사용, 극도의 몰개성을 지향한다. 미니멀 아트라는 명칭은 1965년 1월 영국의 철학자이자 비평가인 볼하임이 뒤샹(1887~1968), 말레비치(1878~1935), 라인하트(1913~1967), 라우센버그(1925~ ) 등의 작가를 논평한 동명의 에세이에서 따왔다. 미니멀 아트는 로즈에 의해 ‘에이비시 아트’로, 프리드에 의해서는 ‘리터럴 아트(Literalist Art)’로 명명되었으며, 이 밖에도 ‘차가운 미술(Cool Art)’ ‘환원적 미술’ ‘오브제 아트’ ‘프라이머리 스트럭처(Primary Structur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 2024. 1. 21.
미술용어 - 미디어아트 Media Art 미디어아트 Media Art 미디어는 ‘매체’를 뜻하는 미디엄의 복수형으로서 미디엄이 미술에서 작품의 재료를 의미한다면, 일반적으로 미디어는 텔레비전이나 신문 등 매스미디어를 가리킨다. 즉 미디어 아트는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인 대중매체를 미술에 도입한 것으로서, 책이나 잡지, 신문,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비디오, 컴퓨터 등 대중에의 파급 효과가 큰 의사소통 수단의 형태를 빌려 제작된다. 1920년대에 전조를 보인 미디어 아트는 제1, 2차세계대전을 통한 대중매체의 기술적 발전과 매스컴 이론의 영향에 따라 1960년대에 대두하였고 197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미디어는 곧 메시지’라는 맥루한의 지적대로 미디어 아트는 매체 자체가 지닌 독특한 속성을 내세워 대중의 의식과 감성에 .. 2024. 1. 21.
미술용어 - 점묘법 pointage 점묘법 pointage 점 또는 점과 유사한 세밀한 터치로 묘사하는 회화 기법의 용어. 동양화에서 자연을 인상적으로 해석하는 미법산수의 미점(米點), 인상주의의 경우에는 프리즘에 의해 분해된 색의 병치에서 색점 배치의 묘법 등이 대표적인 점묘의 예이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그림물감을 팔레트 위에서 섞는 것은 지양하고 순수한 빛을 표현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화면은 미세한 점으로 분할되고 색채도 순수한 색으로 분할되었다. 이 수법은 일찍이 콘스터블(1776~1837)의 풍경화에서도 부분적으로 쓰였으며, 들라크루아(1798~1863)도 의식적으로 사용한 바 있다. [아스니에르에서 물놀이하는 사람들] 조르주피에르쇠라 1884 캔버스에 유채 출처: 화가의 생애와 예술세계 그러나 점묘법을 제작의 기본 원리로 .. 2024. 1. 21.
미술용어 - 인상주의 Impressionisme 인상주의 Impressionisme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일어난 회화 운동. 인상주의는 단일한 이념이나 명백한 원리를 갖는 유파라기보다는 거의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었다. 최초의 중심 인물은 모네(1840~1926), 르누아르(1841~1919), 시슬리(1839~1899) 등으로 이들은 글레이르(Marc) (1808~1874)의 제자들이었으나, 1863년 마네(1832~1883)의 전시회 이후 아카데믹한 교습에 불만을 품어, 피사로(1830~1903), 세잔느(1839~1906), 모리조(1841~1895), 기요맹(1841~1927)과 친교를 맺고 몽마르트르의 카페 등에서 정기적으로 모임을 가졌다. 이후 드가(1834~1917)와 마네, 비평가 뒤레 및 리비에르도 합세하고, 화상 뒤랑-뤼엘의 후원을.. 2024. 1. 20.
미술용어 - 부조 relief 부조 relief 평면상에서 요철 기복을 가한 조형표현으로 조소 기법의 하나. 평면에 형상이 도드라지게 한다. 평면 위에 표현된다는 점에서는 회화에 가깝지만, 입체적인 감각으로 표현된다는 점에서는 조각의 일종이다. 릴리프라는 용어는 르네상스 시기에 첸니니(c.1360~1440)가 사용한 ‘relievo’라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한 말이다. 형상이 돌출된 정도에 따라 고부조(高浮彫), 저부조(低浮彫), 반부조(半浮彫)로 구분된다. 고부조란 돌출된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배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반부조는 돌출 부위의 두께가 다른 부위의 반 정도 되는 경우를 말한다. 저부조란 이보다 돌출 정도가 훨씬 덜한 것이다. 원칙적인 부조의 양식은 부조의 부분이 벽면을 뚫고 나온 느낌을 주는 그리스 부조와 주위의 .. 2024. 1. 20.
미술용어 - 사실주의 Realism 사실주의 Realism 현실을 존중하고 객관적으로 묘사하려는 예술 제작의 태도 또는 방법. 묘사하려는 대상을 양식화, 이상화, 추상화, 왜곡하는 방법과 대립하여 대상의 세부 특징까지 정확히 재현하고 객관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사실주의의 본래 의미는 단순히 자연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 그대로의 일상 생활을 주제로 삼는 것을 뜻한다. 이에 반해 자연주의는 단지 외형을 충실히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로는 근대 시민사회의 성립에 따라 신고전주의나 낭만주의를 대신하여 1840년대 쿠르베(1819~1877), 도미에(1808~1879) 등에 의해 일어나 1850년대에 절정에 달한 프랑스의 미술운동을 말한다. 사실주의 미술은 사실주의 문학과 더불어 19세기 중엽에.. 2024. 1. 20.
미술용어 - 모더니즘 Modernism 모더니즘 Modernism 일반적으로 ‘근대성(modernity)’과 관련된 미술 전반을 지칭하는 용어. 라틴어 ‘modernus’에서 유래하였다. 르네상스 이후에 생겨난 개념으로 사상과 예술에 두루 걸쳐 나타나는 인간의 독특한 시대 의식 또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사상적인 의미에서의 모더니즘은 르네상스 이후에 근대인이 갖게 된 삶의 보편적인 감각을 뜻한다. 그리고 시대 의식이라는 점에서 모더니즘은 시간의 흐름 특히 자신이 살고 있는 당대에 대한 독특한 태도를 가리킨다. 따라서 현재와 오늘의 모습에 충실하려는 인간의 이성적 노력을 촉구하는 태도로 볼 수도 있다. 한편 예술 사조로서의 모더니즘을 말할 때는 ‘미학적 근대주의’ 혹은 ‘근대주의’로 이해된다. 문학에서는 19세기의 데카당스, 상징주의와 아방가.. 2024. 1. 20.
미술용어 - 극사실주의 Hyper-Realism 극사실주의 Hyper-Realism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일어난 새로운 미술경향으로 주로 일상적인 현실을 지극히 생생하고 완벽하게 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슈퍼 리얼리즘, 포토 리얼리즘, 래디컬 리얼리즘, 마이뉴트 리얼리즘, 스튜디오 리얼리즘, 샤프 포커스 리얼리즘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관을 적극 배격하고 어디까지나 중립적 입장에서 사진과 같이 극명한 화면을 구성하는데, 주로 의미 없는 장소, 친구, 가족 등이 대상으로 선택된다. 극사실주의는 미국적인 사실주의로, 특히 팝 아트의 강력한 영향 아래에서 일어난 것이다. 따라서 팝 아트처럼 일상적 생활, 즉 우리의 눈앞에 늘 있는 진부한 이미지의 세계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팝 아트와는 달리 극히 억제된 것으로서 아무런 코멘트.. 2024. 1. 19.
미술용어 - 개념미술 Conceptual Art 개념미술 Conceptual Art 일반적인 뜻으로는 미술작품의 물질적 측면보다 관념성의 비물질적 측면을 중요시하는 경향을 말한다. 좁게는 기호나 문자 등의 비물질에 의한 표현양식을 말하지만, 넓게는 퍼포먼스나 비디오 아트같이 회화도 아니고 조각도 아닌 새로운 미술형태와 대지미술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드로잉이나 사진으로 볼 수밖에 없는 미술 형태를 포괄한다. 공식적으로는 1960년대 후반에 미국의 평론가 펠로가 점차 지적인 사고 조작을 중요시한 나머지 어떤 극한에 도달한 상태의 현대미술 양식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처럼 개념미술은 대부분의 미술작품이 형식(작품)과 내용(개념)으로 성립되는 것에 비해, 일방적으로 개념을 중시하여 작품이 언어적인 의미내용과 제작이념에 완전히 종속되며 작가의 사고 자체.. 2024.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