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용어 이해하기

미술용어 - 사실주의 Realism

by 이자벨우 2024. 1. 20.
사실주의 Realism

 

현실을 존중하고 객관적으로 묘사하려는 예술 제작의 태도 또는 방법. 묘사하려는 대상을 양식화, 이상화, 추상화, 왜곡하는 방법과 대립하여 대상의 세부 특징까지 정확히 재현하고 객관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사실주의의 본래 의미는 단순히 자연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 그대로의 일상 생활을 주제로 삼는 것을 뜻한다. 이에 반해 자연주의는 단지 외형을 충실히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로는 근대 시민사회의 성립에 따라 신고전주의나 낭만주의를 대신하여 1840년대 쿠르베(1819~1877), 도미에(1808~1879) 등에 의해 일어나 1850년대에 절정에 달한 프랑스의 미술운동을 말한다. 사실주의 미술은 사실주의 문학과 더불어 19세기 중엽에 프랑스 예술의 주류를 형성하였다. 사실주의의 주창자들은 아카데미의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인위성을 거부하고 예술 작품이 대중들에게 감동을 주기 위해서는 동시대 의식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였다. 따라서 역사나 알레고리, 미적 대상 등 전통적인 주제를 탈피하고 그때까지 무시당했던 중하층 서민들의 생활상, 평범한 일반 시민들의 모습과 가치관 등 동세대의 삶과 사회의 면모를 재현하는 작업에 진지하게 몰두하였다.

728x90


사실주의 미학을 최초로 선언한 화가인 쿠르베는 천사를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천사를 그릴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자기 자신이 직접 체험한 당대의 모습만을 꾸밈이나 미화하지 않고 정직하게 그리겠다는 예술적 의지를 천명하였다. 그는 1855년 만국박람회에 자신의 작품이 거부당하자 가설천막에다 ‘사실주의, 구스타브 쿠르베’라는 이름을 내걸어 개인 전시회를 열고, 그 서문에서 “자기가 속하는 시대의 풍속, 관념, 현실을 본대로 그린다”고 밝혔다. 쿠르베와 함께 열렬한 민주주의자였던 도미에는 파리의 빈민가와 거리에서 볼 수 있는 빈민층, 악덕 변호사, 부패한 정치가 등을 주제로 프랑스 사회의 부도덕성을 풍자하였다. 한편 19세기 미국에서도 사실주의 미술이 나타났는데, 호머(1836~1910)나 이킨스(1844~1916)는 당시 미국적 삶을 솔직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재현하였다.

 

삼등열차도미에, 1862년, 유화, 65 x 90cm,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출처: 미술대사전(용어편)

 

추상에 경도되었던 20세기 아방가르드 미술은 사실주의를 배격하였지만, 대공황기에는 사회적 사실주의 미술운동이 등장하였고 1950년대 말에 접어들면서 팝 아트와 신사실주의가 다시 주목을 받았다. (일부생략)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나타난 극사실주의는 기계적 복제의 응용이나 세부의 클로즈 업 등을 이용하여 대상을 실물과 착각을 일으킬 만큼 완벽하게 재현함으로써 현대의 복제 문화를 반영하였다. 이 밖에 사실주의를 표방하는 운동으로는 20세기 구소련에서 마르크스주의 미학의 창도 아래 전개된 사회주의 사실주의가 있으나, 실제로는 엄격한 의미에서 사실주의와는 거의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용감하고 강인한 노동자와 기술자의 모범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대개 대상을 자연주의적으로 이상화하였기 때문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사실주의 [寫實主義, Realism, Réalisme] (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월간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