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용어 이해하기

미술용어 - 믹스트 미디어 mixed media (혼합매체)

by 이자벨우 2024. 2. 1.
믹스트 미디어 mixed media 

 

여러 종류의 매체를 서로 혼합시킨 종합적 표현기법. 이는 표현의 범주를 넓히려는 작가들의 바람에서 탄생한 것으로 통상적인 표현 소재 및 기법의 단일한 사용에 그치지 않고 여러 시·청각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결합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발견된 오브제를 비롯한 각종 소재 및 기법의 혼용 외에 소리, 조명, 액션 등까지 포함한 종합적 공간표현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예술 형태의 기원은 실은 19세기말 리하르트 바그너의 총체예술, 즉 게잠트쿤스트베르크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종합예술의 이념을 주창한 바그너는 미술, 음악, 연극, 문학 등 모든 예술 분야를 총합한 예술을 지향함으로써 종래의 의 오페라와는 다른 복합적 형태의 악극을 창안해냈다. 그러나 미술에서의 직접적 효시는 1960년대에 뉴욕의 아모리 쇼에 전시된 로버트 라우센버그의 작품을 들 수 있다. 회화, 조소, 음악, 액션, TV 등 여러 매체를 동시에 사용하여 하나의 종합예술을 탄생시켰다. 이 작품은 1950년대 라우센버그가 제작한 작품 (<오달리스크>를 말함)을 더욱 진일보시켜 텔레비전과 등장인물의 액션까지 포함하여 발표한 것이다. (일부생략)

728x90

 믹스트 미디어는 인터미디어, 멀티미디어 등과 동의어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때로 인터미디어와 믹스트 미디어를 정확히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1960년대 딕 히긴스의 정의에 의하면 인터미디어의 경우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다른 미디어가 개념적으로 융합된 것「예를 들면 퍼포먼스, 구체시(具體詩), 시각시(視覺詩) 등」을 의미한다. 그는 하나의 예술작품은 그 본질에 있어서는 나눌 수 없다는 점에서 각종 미디어 사이의 교류인 믹스트 미디어(예를 들어 오페라)와는 다르다고 지적한다(<현대미술의 용어와 해석>, 윤우학, ≪월간미술≫, 1995).

 (일부생략) 

 

출처 - 현대미술사전,안연희,1999,미진사 ≪일부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