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이상학적 회화 Metaphysical Painting
외국어 표기 Pittura Metafisica (이탈리아어)
이탈리아 근대 회화의 한 경향. 1915년부터 1918년에 이르기까지 데 키리코(1888~1978), 카라(1881~1966), 모란디(1890~1964) 등의 작품에 적용되었다. 시인이자 데 키리코의 형인 사비니오는 그것에는 “조형적 한계 내에서의 정신적 요구에 대한 총체적 표상이라는 아이러니가 있다”고 말한다.
1938년 데 키리코는 스스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예술작품이 진실로 불멸의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전적으로 인간적 한계 내에서 벗어나야 하며, 논리나 상식은 이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이는 꿈과 어린아이의 정신상태에 가깝다…선사 이래 인간이 물려받은 가장 강력한 감각은 예감으로, 늘 우리와 더불어 있다. (일부생략)
카라는 미래주의에서 전향했으며, 모란디 또한 보치오니(1882~1916)의 영향을 받았다. 카라는 데 키리코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기묘한 심리학적 암시보다는 선과 색의 시각적 특성 및 회화상의 문제에 주목했다. 모란디 역시 심리 묘사보다는 조형적, 회화적 효과를 위해 수수께끼 같은 ‘형이상학적’ 이미지를 사용했고 선에 대한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었다. 형이상학적 회화는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이미 쇠퇴했으나 그 영향은 아직도 지속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부생략)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형이상학적 회화 [形而上學的繪畵, Metaphysical Painting, Peinture Metaphysique] (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월간미술)
'미술용어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용어 - 대지미술 Earth Art (0) | 2024.01.31 |
---|---|
미술용어 - 픽토리얼리즘 Pictorialism (1) | 2024.01.31 |
미술용어 - 아상블라주 assemblage (8) | 2024.01.30 |
미술용어 - 신표현주의 Neo-Expressionism (0) | 2024.01.30 |
미술용어 - 순수주의 Purisme (1)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