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괴미술 destructive art
폭력과 파괴라는 20세기의 특징적인 현상이 현대 미술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1960년대 전반기엔 각국 출신의 여러 미술가들이 제2차 세계대전 이래 인류가 행한 파괴를 유례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파괴와 폭력을 창조의 방법으로 사용하여 새로운 형식을 발전시켰다. (일부생략) 이 미술은 대개 공개적으로 진행되었고 그래서 청중은 계속되는 파괴행위로 변형된 대상들을 목격할 수 있었다. 그 변화 과정은 결과로 생기는 파편이 아니라 하나의 예술로 간주되었다.
팅겔리(1925~1991)는 스스로 폭파하는 기계를 전시했고, 토슈는 타자기를 때려부수었으며, 래덤은 스쿱(Skoob: books의 철자를 거꾸로 함)탑을 만들어 폭파시켰다. 슈라이브는 낙화술(烙畵術)을 이용해 불로 이미지를 그렸다. 메츠거는 나일론 시트를 파괴시키는 데 산(酸)을 이용했다. 바이락은 피와 동물의 시체를 사용한 거리의 이벤트로 주목을 받았다. 사실 대부분의 행위와 해프닝은 공격과 파괴적 행위를 상당히 포함하고 있다.
1966년 런던에서 ‘예술에 있어서 파괴에 관한 심포지엄 Destruction in Arts Symposium’이 메츠거와 샤키의 준비로 개최되었다. 10개국에서 20명이 넘는 예술가들이 참석했고 심포지엄 기간에 제시된 파괴미술의 실례들은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언론과 대중, 그리고 비평가들의 열광과 방해를 함께 받았다. (일부생략) 그들은 또한 인간의 공격성이 예술을 통해 순화될 수 있고 사회적으로 폭력이 예술 형식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1968년 두번째 심포지엄이 미국에서 개최되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파괴미술 [破壞美術, destructive art] (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월간미술)
'미술용어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용어 - 나이브 아트 naive art (0) | 2024.01.25 |
---|---|
미술용어 - 키치 Kitsch (0) | 2024.01.25 |
미술용어 - 표현주의 Expressionismus (0) | 2024.01.24 |
미술용어 - 포트폴리오 portfolio (0) | 2024.01.24 |
미술용어 - 그라타주 grattage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