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용어 이해하기

미술용어 - 시그널 아트 Signal Art

이자벨우 2024. 2. 20. 13:47
시그널 아트 Signal Art

 

특정 양식이라기보다는 공공표지, 회사의 트레이드 마크, 광고식 기호, 교통표지, 도표, 신호, 숫자 등을 표현소재로 하여 상징적 효과를 수반하는 경향을 말한다. 주로 간결명료한 기하학적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반사실적이고 딱딱한 느낌을 주기 쉽다. 그러나 도회지의 일상생활 도처에 깔려 있는 갖가지 기호에 대한 연상을 불러일으켜 비록 반추상적이라도 현실적 정취가 강하게 풍기는 것이 특징이다. (일부생략)

728x90

 시그널 아트는 1920년대 옛 러시아의 알렉산더 로드첸코, 엘 리시츠키, 레빈, 클루치스 등의 생산주의 미술에서 그 기미를 보인 이래 팝 아트의 로버트 인디애나, 니콜라스 크루세니크, 앨린 다켄젤로 등에 의해 완결된 형태로 나타났다. 인디애나의 색채구성은 미국을 상징하는 각종 표지, 이를테면 성조기나 도심지에 나붙은 표어를 연상시키는 별모양, 숫자, 문자 등으로 인해 문학적이면서도 서민적인 정취를 짙게 풍겨 요란스럽고 화려한 뉴욕 팝과는 상당히 다른 느낌을 주었다. 미국의 쭉 뻗은 고속도로, 세련된 광고간판, 단순한 교통표지 등을 연상시키는 다켄젤로의 화면에서는 칼로 자른 듯한 윤곽과 선명한 색채가 기묘한 조화를 이루어 초현대적 감각을 자아냈다. (일부생략) 이들의 시그널 아트는 대체로 구성주의적 형태감각과 팝 아트의 현란한 색채감각이 혼합된 것이 특징이다.

 이후 1980년대에 와서 네오 지오의 애슐리 비커톤디 유엔 마크, 교통신호, 수학적 기호 등을 연상시키는 소재를 사용하여 1960년대에 성행했던 시그널 아트에 대한 관심을 부활시켰다.

 

출처 - 현대미술사전,안연희,1999,미진사 ≪일부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