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용어 -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나타난 미술경향으로서 작가의 감정과 주관이 지배적인 추상표현주의에 반하여 최소한의 조형 수단을 사용, 극도의 몰개성을 지향한다. 미니멀 아트라는 명칭은 1965년 1월 영국의 철학자이자 비평가인 볼하임이 뒤샹(1887~1968), 말레비치(1878~1935), 라인하트(1913~1967), 라우센버그(1925~ ) 등의 작가를 논평한 동명의 에세이에서 따왔다. 미니멀 아트는 로즈에 의해 ‘에이비시 아트’로, 프리드에 의해서는 ‘리터럴 아트(Literalist Art)’로 명명되었으며, 이 밖에도 ‘차가운 미술(Cool Art)’ ‘환원적 미술’ ‘오브제 아트’ ‘프라이머리 스트럭처(Primary Structur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최소한, 극소의 미술’이라는 의미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금욕적이리만큼 절제된 양식과 극도로 단순한 제작방식을 채택하여 미술 작품의 실재와 본질을 강조하였다.
미니멀 회화는 재현된 형상과 환영적인 회화의 가상 공간을 거부하고, 미니멀 조각은 역시 재현된 형상이나 받침대를 배제함으로써 작품을 하나의 오브제로서 간주한다. 그러나 대표적인 미니멀리스트인 저드(1928~1994)가 1965년 《특수한 물체》에서 회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회화도 조각도 아닌 삼차원의 특수한 물체를 제안하였듯이, 실제로 미니멀 아트에 있어서 회화와 조각의 구분은 무의미하다. 모리스(1931~ )와 저드의 작품처럼 대부분의 미니멀 아트는 구성상 나눌 수 없는 단일한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각 단위들 사이에 위계적 질서나 내부적 상관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전통적으로 은유나 상징체계가 작품의 내부에 존재한다는 가정을 거부하는 미니멀 아트는 그 의미를 외적인 것에 의존하고 있다. 즉 공적인 공간에서의 경험을 유도함으로써 미니멀 아트는 실제 공간 속에서 관람자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한편 그 제작과정에서는 작가 개성의 흔적이나 손질이 가해지지 않으며 대신 공장에서 주문 생산된다. 이 때문에 미니멀 아트는 그린버그(1909~1994)에 의해 비예술(non-art)에 근접한 것이며 새로움을 추구하는 ‘진기한 미술(novelty art)’의 극단적인 형태라는 비난을 받았다.
늘어진 옷의 착용 스텔라, 실크스크린, 1969년, 96.5 x 178cm
로스앤젤레스제미니 갤러리 / 출처 - 미술대사전(용어편)
그러나 1950년대에 추상표현주의가 그랬듯이 미니멀 아트 또한 1960년대 후반의 미술계를 주도한 대표적인 경향이었다. (일부생략) 대표적인 미니멀리스트로는 저드, 모리스, 르윗(1928~ ), 플래빈(1933~ ), 스미스(1912~1980), 안드레(1935~ ), 세라(1939~ ), 마틴(1908~ ), 마든(1938~ ) 등이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월간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