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용어 - 극사실주의 Hyper-Realism
극사실주의 Hyper-Realism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일어난 새로운 미술경향으로 주로 일상적인 현실을 지극히 생생하고 완벽하게 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슈퍼 리얼리즘, 포토 리얼리즘, 래디컬 리얼리즘, 마이뉴트 리얼리즘, 스튜디오 리얼리즘, 샤프 포커스 리얼리즘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관을 적극 배격하고 어디까지나 중립적 입장에서 사진과 같이 극명한 화면을 구성하는데, 주로 의미 없는 장소, 친구, 가족 등이 대상으로 선택된다. 극사실주의는 미국적인 사실주의로, 특히 팝 아트의 강력한 영향 아래에서 일어난 것이다. 따라서 팝 아트처럼 일상적 생활, 즉 우리의 눈앞에 늘 있는 진부한 이미지의 세계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팝 아트와는 달리 극히 억제된 것으로서 아무런 코멘트도 없이 다만 그 세계를 현상 그대로 다룰 뿐이다. 그렇게 감정을 배제한 채 기계적으로 확대한 화면의 효과는 매우 충격적이다. 우리가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었던 점들이 그대로 클로즈업되어, 보통이라면 지나쳐버릴 수도 있는 사실성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충격을 받게 하는 것이다. (일부생략)
극사실주의는 작품 제작에 사진이나 슬라이드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이용하는 클로즈(1940~ ), 캐노비츠, 몰리(1931~ ) 등과, 사진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자연의 풍경이나 모델만을 대상으로 하는 펄스타인(1924~ ), 틸림 등의 두 계열로 나뉘어진다.

쇼핑백을 든 부부핸슨, 폴리비닐 등신대, 1976년, 뉴욕 OK 해리스 갤러리
출처: 미술대사전(용어편)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극사실주의 [極寫實主義, Hyper-Realism] (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월간미술)